스페셜
"날"(으)로 총 1,48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코딩 교육, 과연 필요한가?2019.01.21
- 주) “육아휴직 동안 윤슬이 코딩 교육을 해보는 것은 어때?” 휴직을 앞둔 어느날 저녁, 아무렇지도 않게 아내가 말을 건냈다. 생각을 안해본 것은 아니었다. 코딩 교육 의무화를 코 앞에 둔 지금, 소프트웨어 개발이 그저 밥벌이 수단뿐만이 아니라 소홀했던 육아에 대한 면죄부로 활용할 수도 ... ...
- 스페이스X 새 우주왕복선 공개한 날 직원 600명 잘랐다동아사이언스 l2019.01.13
- 몇몇 구성원들을 떠나 보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스페이스X는 이미 이날 오후부터 해고 조치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스페이스X 측은 “우리는 그들(퇴직하게 될 직원들)이 이룬 모든 것과 스페이스X의 임무에 대한 그들의 헌신에 감사한다”며 “이번 조치는 오로지 앞으로 ... ...
- [과학게시판] 천문연, 동계 방문의 날 행사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19.01.09
- 24일부터 25일까지 대전 유성구 화암동 천문연 본원에서 '동계 방문의 날' 행사를 개최한다. 매일 오후 2시부터 3시간씩 진행될 이번 행사에서는 천문학 강연과 연구 시설 견학, 태양흑점 관측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참가비는 무료이며, 선착순 200명을 대상으로 열린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2019.01.08
- 유리(Harold Urey) 교수 실험실에 들어갔다. 대학원 생활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어느 날 유리 교수가 강의에서 “생명체를 이루는 분자가 만들어지려면 지구가 환원성(산소가 없는) 대기였을 것”이라며 “누군가가 이를 입증하는 실험을 해보면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구의 원시 대기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기통제를 잘 하는 사람은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겐 없는 것2019.01.05
- 싶어지는 것이 우리다. 또 매일 집 옆에서 시끄럽게 공을 차는 아이들에게 어느 날 “500원을 줄 테니 공을 차렴”이라고 했더니 겨우 500원 받으려고 공을 차다니 미쳤냐며 공차기를 관두었다는 이야기처럼 뭐든 내가 원해서 한다면 기꺼이 하게 되지만 갑자기 그게 ‘500원 때문’ 같이 더 이상 ... ...
- 뉴호라이즌스號, 새해 첫날 태양계 가장 바깥에서 '플라이 바이'동아사이언스 l2019.01.01
-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명왕성 무인탐사선 뉴호라이즌스호가 새해 첫날 태양계 최외곽에서 역사적인 이벤트를 진행한다. 해왕성 궤도보다 바깥에 있는 카이퍼 벨트의 소행성 '2014 MU69'에 접근해 '플라이 바이(Fly-by·중력도움)'를 시도하는 것이다. 플라이 바이 기술은 행성과 위성의 중력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울증이 말하는 법2018.12.29
- 보아님의 인터뷰를 보다가 아직도 이것 밖에 안 되냐며 한창 자신을 다그쳤는데 어느 날 문득 나 또한 그저 인간일 뿐이라고 생각해 보니 마음이 편해졌다는 내용이 있었다. "내가 인간인걸 까먹었었나봐요"라는 말이 인상적이었다. 다가오는 새해에는 인간임을 잊지 말고 자신이나 타인을 향한 ... ...
- '어디서부터가 우주일까' 우주 경계 "고도 기준 바뀐다"동아사이언스 l2018.12.19
- 약해지는 곳부터를 우주로 보고 있다. 대기가 희박해 양력을 만들 수 없어 항공기가 날 수 없고 궤도를 일정 높이로 유지할 수 있는 위치가 우주의 경계라는 것이다. 조너선 맥도웰 미국 하버드대 천체물리학 교수는 지난 10월 국제학술지 ‘악타 아스트로노티카’에 카르만 라인을 80㎞로 ... ...
- [여기에 과학]뒤짱구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적 흔적동아사이언스 l2018.12.15
- 호모사피엔스(왼쪽)와 네안데르탈인(오른쪽) 두개 골을 비교한 모형. 뇌 용량은 네안데르탈인이 조금 더 크지만, 소뇌는 호모사피엔스가 8배 가량 더 크 ... 무엇이며, 어디로 가는가'의 첫 번째 질문, 바로 인류의 기원에 대한 명확한 답을 찾을 날을 기다려 봐야겠습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고생은 과연 인간을 성장시킬까2018.12.15
- 겪은 고통을 타인을 향해 휘두르는 무기로 쓰는지 아니면 삶의 의미를 추수하는 여러 날 중 하나로 잘 보내는지에 따라 성숙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나뉠 거 같긴 하다. 고생을 통해 꼬인 사람이 되지는 말자. 또 뭐뭐만 하면 인생 필 꺼니까 그때까지 꾹 참으라는 이야기는 함부로 하지도 말고 그런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