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뉴스
"
연구원
"(으)로 총 16,95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KAIST 인공위성연구소, 소형위성 워크숍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한국형 우주과학연구용 위성인 차세대 1호. KAIST 제공 ◆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30일 오후 1시 30분 대전 본원 KAIST 인공위성연구소 1층 대회의실 ...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고, 2부에서는 국립중앙과학관 미래기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
연구원
창립 60주년 특별성과전시회’ 관람으로 진행됐다 ... ...
[의학게시판] 춘천 '당뇨인 걷기대회 행사'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경우 의사에게 여행력 알리고 진료를 받으라고 권고했다. ◆ 이대서울병원 첨단의생명
연구원
은 23일 이대서울병원 대강당에서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계 활용 강화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류동열 원장의 사회를 통해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은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한 보건의료연구(조동규 ... ...
“전자통신 기술의 주연은 기업, ETRI는 명품 조연 역할하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모두가 제대로 연구할 수 있는 곳으로 만들겠다”고 부정의 뜻을 보였다. 김 원장은 최근
연구원
의 사기가 떨어졌다고 말했다. 이유는 역할의 변화다. 지난 정부부터 지금까지 ‘기초원천연구 강화, 사회문제 해결, 중소기업 활성화’ 등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장으로서 김 ... ...
'이달의 KIST인'에 조영욱 선임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양자역학에서는 양자측정 시 반드시 반작용(양자 측정반작용)이 일어난다. 조 선임
연구원
은 기하학적 위상 현상과 측정반작용이 서로 밀접한 관계라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피직스' 15일자에 발표됐다 ... ...
전기연-한전, '스마트변전소' 개발 MOU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네트워크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전기
연구원
제공 한국전기
연구원
(이하 KERI)과 한국전력공사(한전)가 24일 오전 한전 대전세종충남본부에서 디지털변전소 차세대 네트워크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은 KERI 이정호 전력망연구본부장과 한전 ... ...
모세혈관 속 적혈구, 기차처럼 줄지어 경로 선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피직스’ 23일자에 발표됐다. 기초과학
연구원
(IBS)는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왼쪽) 첨단연성물질연구단 그룹리더와 올게르 시불스키(오른쪽) 연구위원 연구팀이 아주 얇고 긴 관에 흐르는 액체방울에서 네트워크 주기운동의 원리를 알아냈다고 24일 ... ...
서울 내부순환로 스마트 기술로 관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시내 주요 인프라에 광섬유 센서를 매립해 관리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한국건설기술
연구원
과 서울시설공단은 23일 건설연 일산 본원에서 인프라시설물 스마트 관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건설연은 내부순환로 같은 서울시설공단이 관리하는 주요 인프라시설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 ...
원자력연,'OECD-ATLAS' 2차 프로젝트 진도점검회의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중형 사고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원자력
연구원
은 ATLAS에서 중형 사고를 포함한 다양한 범위의 냉각재상실사고 모의실험을 할 수 있다. OECD-ATLAS 프로젝트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강화된 안전기준에 대한 실증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원전의 안전성 ... ...
화성에서도 지진 일어난다...첫 지진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발견으로 화성은 지진학적으로 살아있음이 증명됐다. SEIS 팀을 이끌고 있는 필리프 로뇬
연구원
은 “마침내 화성이 지진학적으로 살아있다는 것을 증명하게 돼 기쁘다”며 “우리는 세부적인 결과를 분석해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기다려 왔다”고 말했다. 화성에서 관측된 첫 지진의 신호: https:/ ... ...
‘유전체 표준’ 세계 두 번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해독 기술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영경 선임
연구원
은 “한국인은 물론 나아가 아시아인의 유전체 분석 결과까지 더 정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유전체 의학에서 말하는 ‘지역 별 또는 국가 별 유전체 차이’는 통계적으로 미미한 만큼 지역 별 ... ...
이전
1120
1121
1122
1123
1124
1125
1126
1127
1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