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현재 20%에서 60%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전망이다.사업단을 운영하던 초기에 1만여
개
의 유전자를 구입, 사업단에서 DNA칩을 자체적으로 제작해 국내연구자에게 보급한 일이 최근 좋은 결과를 낳고 있는 것처럼 10년 후 사업단의 연구는 또다른 결실을 맺을 것이다. 즉 한국인의 난치병을 치료하는 ... ...
모험이의 스타워즈 에피소드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진동수가 2배 차이가 난다. 이것이‘1옥타브’다. 또한 그 사이를 이루는 음이 총 12
개
이므로, 진동수를 12등분하면 음계의 진동수 비율을 구할 수 있다. 이를 다시 파장과 진동수가 반비례하고, 각 음에 해당하는 관의 길이가 파장에 비례하는 점을 이용하면 악기를 만들 수 있는 관의 길이비를 얻을 ... ...
자동 조율되는 피아노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현이 정상음인지 아닌지는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해 측정한다. 길모어는 각각의 현에다 2
개
의 전자석 코일을 감아 두었다. 이 코일 한쪽에 전류를 홀려 주면 자기력이 발생해 현이 진동하게 된다. 이는 다시 두번째 코일에서 작은 전류를 유도하게 된다. 피아노 안의 마이크로컴퓨터는 이 전류로 ... ...
국내 연구팀 단백질 구조예측대회서 아시아 최고 성적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제출 마감일로 정해놓는다.CASP는 처음 20여
개
연구팀으로 출발해 올해는 출전팀이 2백20여
개
로 늘어났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제4회 대회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윤창노 교수팀이 처음으로 참여했고, 이번에는 윤 교수팀과 고등과학원의 이주영 교수팀이 출전했다.이 교수팀이 CASP에서 높은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정도로 상당히 밝은 편이다. 유성이 가장 많이 떨어지는 시간대에는 무려 시간당 1백
개
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일반 유성우 중에서 가장 많다.올해의 경우 용자리 유성우가 가장 많이 떨어지는 때는 1월 4일 낮 12시 경이다. 언뜻 생각하면 조건이 매우 좋지 않다고 생각되겠지만 실상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범주에 들어왔다. 기독교 시인 오든(W. H. Auden)이 말했듯이 “과학이 없이는 평등이라는
개
념도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선택하는 윤리가 인간적이고 합리적이려면 과학과 종교가 함께 일해야 하며,그렇기 때문에 인류의 미래는 과학과 종교에 고루 달려 있다고 물리학자 다이슨(Freeman Dyson ... ...
①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우리은하 중심에 있는 거대블랙홀로 소용돌이치며 빨려들어가는 먼지의 세부를 공
개
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이 하와이에 있는 제2 케크 망원경을 이용해 중(中)적외선으로 찍은 이 모습에는 특히 ‘북쪽 팔’(Northern Arm)이라 불리는 가스와 먼지 흐름이 두드러졌다. 실내 온도 정도인 물체가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박사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6백54종의
개
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조사한 결과 지구상 모든
개
는 1만5천년 전 동아시아에서 유래했다.돼지 - 스페어 장기 생산 공장돼지는 잡식성으로 인간과 식성이 유사하고 장기의 해부학적 구조나 생리특성이 인간과 가깝다. 이 때문에 돼지장기를 이용해 간, 심장, ... ...
문화재 아름답게 노화시키는 보존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최소한도에 그쳐야 한다. 완벽한 보존처리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더 완벽한 기술이
개
발될 때까지 미뤄야 한다. 자칫 서툰 보존 보수는 오히려 문화재를 더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다 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후손에게 그 몫을 넘겨야 한다. 특히 과학의 급속한 발전으로 보존과학도 하루가 ... ...
털모자 눌러쓴 에스키모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나온 물질이 만든 거품구조 때문이다. 보통 거품구조는 백색왜성의 양극방향으로 두
개
가 만들어진다. 행성상성운이 어떤 경우에 나비나 모래시계처럼 보이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에스키모성운의 경우에는 하나의 거품이 또다른 거품 위에 겹쳐져 하나로만 보이는 것이다. 거품의 크기는 길이가 ... ...
이전
1121
1122
1123
1124
1125
1126
1127
1128
1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