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d라이브러리
"
과정
"(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문화의 기수 워드프로세서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듣기에 좀 어색한 말이 된다. 이 단어 처리기란 뜻은 무엇인가? 인류의 발전
과정
에서 인쇄술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도 누구나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인류는 거의 모든 지식들을 종이에 담아 후세에 전했으며 방대한 양의 지식들은 인쇄술의 발달로 인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 ...
한국의 자연 대암산의 큰용늪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나타나는 특이한 현상이다. 특수환경에서 자라는 식물들 이렇게 독특한 형성
과정
과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는 고층습원인 대암산 큰용늪에는 어떤 식물들이 살고 있을까. 전술한 바와 같이 고층습원은 과습 한랭하고 환경이 산성이기 때문에 이러한 곳에 서식할 수 있는 식물은 최소한 빈영양 ... ...
초전도 현상이 실온에서 가능할까? 뜨거운 온도 경쟁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는데 성공했다. 그뒤 86년11월 일본 동경대 ‘우찌다’교수팀의 확인
과정
을 거치면서 임계온도가 절대온도 30도를 넘어서는 높은 초전도 물질이 줄을 이어 개발돼 발표됐다. 취리히 IBM연구소의 업적이 나오기 전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물리학자들은 임계온도를 아무리 ... ...
화학 문제풀이를 통해 완벽한 이해를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그 내용의 변화를 가져오면서 연구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고교화학의 교과
과정
도 화학I과 화학II로 분류되어 인문계는 화학I만을, 자연계는 화학I과II를 모두 공부하도록 하였으며, 88학년도부터는 학력고사의 출제경향이 바뀌므로 학교에서의 내신성적과 학력고사의 고득점을 위하여 ... ...
녹색 혁명 이야기 나무 쟁기에서 유전자 조작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곡물생산을 위해서 개간되기 시작했을 때, 쟁기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이러한
과정
이 본격적으로 진행된 것은 기원 후의 일이었다. 쟁기의 발달사 쟁기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4천년 무렵 ‘우르’왕의 묘에서 출토된 ‘슈멜’의 인장에서 볼 수 있다. 쟁기는 이집트와 페르시아 ... ...
공해없는 꿈의 차 전기자동차는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은 전기자동차의 이용 가능한 분야가 예상외로 많음을 보여주고 있다.이제 전기차의 발달
과정
과 국내외의 개발현황을 살펴보자. 전기자동차의 역사는 요즘 일반화된 가솔린차보다 오히려 더욱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초의 자동차는 증기자동차였는데, 1769년 프랑스의 ‘큐노’가 처음 ... ...
물리 힌트나 연구를 이용해 응용력을 길러야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물리학의 발전은 시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물리교육도 84학년도의 새 교육
과정
에 따른 교과서의 전면개편에 의하여 우리들에게 새로운 학습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88학년도부터는 대입학력고사의 출제경향이 바뀌므로 학력고사에서 좋은 결과를 얻고, 내신성적에서 높은 ... ...
BASIC 강좌⑨ 퍼스널컴퓨터의 그래픽기능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막대의 굵기가 달라진다. 여러 값들에 대해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보고 프로그램의 처리
과정
을 이해해주기 바란다. 프로그램은 해당 데이타의 막대표시를 막대가 아래에서 해당위치까지 위로 올라오도록 설계되어 있어 좀더 생동감있게 보일 것이다. 막대의 색깔을 변화시켜 보려면 30번 문장 ... ...
인체 유전자가 모두 판독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또한 유전자의 해석을 통해 인류 진화의 수수께끼가 풀릴 지 모른다. 인류가 진화해 오는
과정
에 생긴 수많은 변화가 현생 인류의 DNA에 어김없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 ...
수석 합격자의 말 공식의 암기보다
과정
의 이해를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저는 공식을 그대로 외우는 데 찬성하지 않습니다. 공식이 나오기까지의 논리적
과정
을 항상 생각하지요. 그래야만 원리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고 어떤 형태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읍니다. 한가지 요령은 추상적인 공식을 구체화시켜 보는 것이지요. 예를 들면 y=x²이라는 식이 있다면 x값에 ... ...
이전
1121
1122
1123
1124
1125
1126
1127
1128
1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