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미사회에도 감염병에 맞선 치열한 투쟁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동료를 빠르게 치료하려는 노력도 보인다. 실비아 크레머 오스트리아 과학기술연구소
교수
팀은 지난 1월 아르헨티나 개미들이 스스로 제거하기 힘든 몸통 뒤에 달린 곰팡이를 서로 제거해준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생태학 레터스에 소개했다. 이 과정에서 개미들이 해당 곰팡이에 대한 항체를 ... ...
[부고] 김성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R&D본부장·은성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선임 모친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20
◇민병순씨 별세·김성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R&D본부장·은성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선임·진성 JH 회계사무소 대표 모친상 민경진씨 시모상 이긍원 고려대
교수
·한인섭 미국 제트추진연구소(JPL) 책임연구원 장모상=19일 이대서울병원, 발인 21일 오전 5시, 02-6986-4456 ...
신종 감염병, 30분 만에 진단하는 새 유전자 기반 진단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0
등 총 5종의 바이러스와 세균에서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정욱
교수
는 “RNA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기술로 환자의 시료에서 별도의 처리 없이도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어 빠르고 간단하다”라며 “코로나19 외에 다른 새로운 감염병이 나오더라도 일주일 이내에 ... ...
이산화탄소를 산업용 일산화탄소로...저렴한 고효율 주석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9.20
그 뒤 이 혼합물을 도자기를 굽듯 고온에서 구워 내구성 높은 촉매를 완성했다. 권
교수
는 “주석 촉매가 포름산 생성을 촉진한다는 50년 넘은 이론을 뒤집었다”며 “또 이산화탄소 변환 반응 촉매를 설계할 때 전기장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밝힌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표지로 읽는 과학]2030년까지 플라스틱 쓰레기 5300만t 쌓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0
2040년 플라스틱 쓰레기가 7억1000만t 쌓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로크만
교수
는 "플라스틱 공해는 전 지구적으로 모든 해양 생태계에 위협을 가할 것"이라며 "(2030년까지) 플라스틱 쓰레기의 예상 배출량을 낮추기 위해서는 현재의 플라스틱 경제 시스템을 전환하기 위한 노력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럽 호령하던 바이킹은 갈색머리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9
나타났다. 스웨덴인에게 남아 있는 바이킹 DNA는 10%로 큰 차이가 없다. 빌레르슬라우
교수
는 “이번 연구결과는 바이킹이 실제로 어떤 이들인지에 대한 인식을 바꿨다”며 “역사책은 새 정보로 갱신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아이온큐 창업자 김정상
교수
"초능력 가까운 양자컴퓨터가 진화한 AI 만들 것 "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결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이 세상에 가장 일조하는 부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
는 “최근 기초과학 분야에서도 양자컴퓨터는 세계에서 가장 대단한 발견물이었다”며 “이를 활용해 다양한 연산 능력을 발휘하는 날이 10~20년 내로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예측했다 ... ...
트럼프, 존슨, 푸틴 당신들 덕분에 깨달았소. 의학교육의 중요성을…올해 엽기노벨상 (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음향학상 시상자로는 이그노벨상과 인연이 있는 안드레 가임 영국 맨체스터대
교수
가 나섰다. 그는 2010년 그래핀을 발견해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는데, 노벨상 수상 10년 전인 2000년 개구리를 자기장 속에서 공중에 붕 뜨게 만드는 실험으로 이그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음향학상 시상자로 ... ...
캄보디아와 베트남은 어떻게 코로나19 대응 모범국가가 됐나
2020.09.18
향후 국제협력을 통해 코로나19를 극복할 방법을 찾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고
교수
는 “아시아와 유럽 등 전 세계 모빌리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대 60%까지 이동량이 줄었다”며 “이는 코로나19 이전 일상으로의 복귀가 예상만큼 쉽지 않을 것이라는 뜻”이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 ...
결장암 발병 원인 '돌연변이' 정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인터파크 바이오융합연구소 자문
교수
)와 쓰키야마 다다스케 일본 홋카이도대 의대
교수
팀은 동물 세포 내 신호경로 중 하나인 윈트(Wnt)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는 단백질에서 특정한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결장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막을 방법까지 밝혀 국제학술지 ‘네이처 ... ...
이전
1121
1122
1123
1124
1125
1126
1127
1128
1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