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표"(으)로 총 5,31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01
- 대체한 새로운 DNA 물질을 만들 수 있다.인공 DNA, 일명 ‘XNA’다.이 분야에 도전하는 대표 과학자는 필립 홀리거 영국 분자생물학연구소 의학연구위원회 교수다.홀리거 교수는5개의 탄소와 산소가 고리 모양으로 결합한 DNA의 구조에서, 원자를 조금씩 바꾸거나 고리 모양을 변형한 분자를 6개 ... ...
- PART 2. 큐리오시티는 뉴턴의 눈으로 길을 찾는다과학동아 l201301
- 뉴턴역학을 여전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으로 대표되는 현대물리는 어디로 갔을까.전자기기는 양자역학이 지배하는 세계다. 오늘날 전자기기 회로를 설계할 때 반도체를 빼놓을 수 없다. 정 교수는 “전자를 다루는 반도체는 이제 고전전자기학이 아니라 ... ...
- 동서남북 모인 데서 신약 개발 꿈꾼다과학동아 l201301
- 있다.16세기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유럽 정복자들이 가져간 작물이 코스타리카를 대표하게 된 것도 있다. 바로 커피다. 코스타리카 커피가 향긋하고 맛있는 비결은 역시 비옥한 화산 토양에 있다. 화산재가 지나갔던 산자락에는 커피농장이 들어서 있다. 단물을 빼기 위해 물에 담갔던 커피콩을 ... ...
- 아프리카의 아성에 도전하는 아시아의 인류과학동아 l201301
- 두 배에 이를 만큼 머리가 컸습니다(현대인의 약 3분의 2). 그래서 호모 에렉투스의 대표가 됐고, 중국 역시 이를 바탕으로 ‘최초의 직계 조상이 중국에서 나타났다’고 주장하기에 이르렀습니다.그런데 문제가 있었습니다. 아프리카에서만 발견되던 초기 인류 조상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어떻게 ... ...
- 2013, 수학으로 머피의 법칙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01
- 그래서 저는 이 머피의 법칙을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모든 상황을 두고 생각해 봤어요. 대표적인 예가 ‘왜 잼을 바른 토스트는 식탁에서 떨어질 때, 보통 잼 바른 쪽이 바닥에 닿도록 떨어질까?’와 같은 현상을 수학과 물리학을 이용해 밝혀보기로 한 것이에요.그 결과, 그것은 우연이 아니라 ...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01
- 뜬금없어 보이는 곳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가수 윤종신이 앓고 있다는 크론씨병이 대표적이다. 크론씨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는 ‘Trib1’인데, 이 유전자와 꽤 떨어진 곳에서 SNP가 발견된다. 과학자들은 이렇게 멀리 떨어진 SNP라도 분명 단백질을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SNP가 ... ...
- 왼손잡이는 정말로 천재인가과학동아 l201301
- 상황으로 인한 능력치 상승도 무시할 수 없다는 뜻이다. 2012년 12월 12일 복싱 여자 국가대표 선발 결승전에 진출한 연예인 출신 복서 이시영 역시 왼손잡이인 점을 내세워 계속 승리했다.그러나 왼손을 많이 쓰는 것이 예술성이나 신체 능력을 올리고 지능을 높인다고 설명하기엔 아직도 부족한 점이 ... ...
- [현장취재]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개그 더하기 수학은?수학동아 l201301
- 보내요. 진법이란 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표기법인 10진법이 대표적이지요. 10진법은 0부터 9까지 숫자를 세다가 그보다 큰 수는 자릿수를 올려 표기하는 방법이에요. 반면 2진법은 0과 1만을 이용해 숫자를 표기하기 때문에 각 자리 숫자는 0 또는 1로만 쓸 수 있답니다 ... ...
- INTRO. 당신의 뉴턴은 안녕하십니까과학동아 l201301
- 참조).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현대물리학의 양대 주축을 이루는 오늘날, 뉴턴역학으로 대표되는 고전물리학의 위치는 어떠할까.아이작 뉴턴은 지금으로부터 300여 년 전인 1687년에 ‘프린키피아’를 집대성하며 뉴턴역학을 완성했다.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연구결과가 쏟아지는 오늘날, 긴 세월 ...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과학동아 l201301
- 이유였던 것이다.첫 번째 난제와 두 번째 난제가 거시적인 문제라면 미시세계의 대표적인 문제가 흑체복사와 광전효과다.이는 고전물리학의 한 분야인 고전전자기학이 당시 풀지 못했던 과제다.투사되는 모든 파장의 빛(전자기파)을 흡수하는 물체를 ‘흑체’라고 한다. 상온에서 흑체는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