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d라이브러리
"
천문학자
"(으)로 총 1,142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사들의 경험이야기 누가 훌륭한 과학자가 되나?
과학동아
l
198706
과학서적도 읽고 글로 표현해보자 박-오늘 좌담의 주제는 어떤 학생이 나중에 과학자로서 성공할 수 있겠느냐는 것입니다. 또 그렇게 되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들은 무엇인지를 살펴볼까 합니다. 저 자신도 20여년간 교단에서 물리를 가르치고 있읍니다만, 어떤 학생이 훌륭한 과학자가 되더라는 딱 ... ...
욕심장이 생화학자 월터 길버트
과학동아
l
198706
"나는 유전자 해독이 아무리 어려워도 앞으로 10년내 끝내겠다" 노벨상을 탄 과학자들중 '월터 길버트'같이 특이한 인물은 보기 드물다. 노벨상이라는 최고의 옝예를 누리면서 연구실이나 대학에서 평생을 보내는 다른 수상자들과는 달리 길버트는 학교와 연구실을 떠나 실업계로 뛰어 들었다. 그 ... ...
미국 수소폭탄의 아버지 에드워드 텔러
과학동아
l
198704
I.I.래비는 "텔러가 태어나지 않았다면 세상은 좀더 살기 좋았을 것이다"라고 말했고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가장 무서운 무기를 개발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 사람이 이 무기가 참으로 좋은 것이라고 기를 쓰면서 주장한다"고 빗대고 있다. 그가 연설하는 곳에는 반전운동가들이 몰려와서 훼방을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04
알려진게 거의 없다. 그러나 일부 과학자들은 태양 지구간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천문학자
들은 오래전에 태양표면의 흠집인 태양흑점이 규칙적인 주기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았다. 최근에 가뭄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나무의 나이테를 조사하던 과학자들은 가뭄의 주기가 태양흑점 주기와 ... ...
천문학의 최전선 전파천문학이란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02
문제는 물론 그들을 발견하고 교신을 하기 위한 유일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천문학자
들의 추산에 의하면 우주에는 지구와 같은 환경을 가진 행성이 수없이 많을 것이며, 따라서 그곳에는 생명체가 진화하고 그들 중에는 우리 지구인 보다도 더 발달한 고도의 문명을 가진 생명체가 있을 ... ...
과학혁명과 연구소들
과학동아
l
198702
17세기에 설립붐을 이룬 과학연구소는 과학문명의 터전을 닦았고 오늘날 선진국이 존재하게끔 결정적 기여를 했다.서양의 역사에 있어서 17세기는 하나의 분수령을 이룬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해서 중세 봉건사회는 근대사회로 탈바꿈을 하였고, 특히 자연과학이 참된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데 이 ... ...
갈릴레오 수난에 대한 새로운 학설
과학동아
l
198702
해서 말썽을 빚었다고 말했다. 말썽이 된 이유는 갈릴레오의 라이벌이던 제수잇교단의
천문학자
'오라지오 그라시'가 "빛이 원자로 돼 있다는것은 화체설(化體設·transubstantiation)에 어긋나는게 아닌가"라는 질의서를 바티칸에 보냈기 때문이라는 것. 즉 빛을 포함한 모든 물질이 변할수 없는 원자로 ... ...
우주의 균형팽창설 부정 태양계,은하계 빠른 속도로 어딘가로 끌려가고 있다
과학동아
l
198701
우주에서의 운동은 모두 상대적인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최근10여년동안
천문학자
들은 지구의 특수한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을 알게되었다. 즉 우주의 일반적인 팽창에 의한 운동아닌 지구만의 독자적인 운동을 측정했다는것이다.학자들은 모든 방향에서 하늘을 가득채우고 있는 약한 방사능을 ... ...
지동설이 확립되기 까지
과학동아
l
198701
그의 첫번째 약점은 '케플러'(Johannes Kepler;1571~1630)에 의해서 수정되었다. 1601년 근대 관측
천문학자
인 '티코 브라에'(Tycho Brahe;1546~1601)는 사망하기 전 자신이 평생동안 관측하여 얻은 귀중한 많은 자료를 조수인 '케플러'에게 넘겨 주었다. '케플러'는 이 관측자료를 검토하는 도중에 화성의 불규칙 ...
눈은 왜 육각형 모양인가
과학동아
l
198701
않는다.눈을 관찰하여 눈이 육각모양을 하고 있다는것을 처음으로 지적한 사람은 독일의
천문학자
'케플러'(Johannes Kepler·1571~1630)로 1611년에 낸 저서 '새해의 선물-육각의 눈'에서 밝혔다. 그리고 프랑스 철학자 '데카르트'는 1637년에 눈의 결정을 관찰한 스케치를 처음으로 기상학지에 발표했다. 그뒤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