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암호화폐 새로운 세계를 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기반으로 한 NFT는 데이터가 분산 저장돼 소유권이 남지요. 또, 플랫폼끼리 연합하면, 내 소유의 아이템이나 캐릭터가 플랫폼을 오갈 수 있지요.이외에도 전자 투표나 전자 계약서 관리, 기업마다 다 따로 적립하던 포인트를 통합시키는 시스템 등에 활용할 수 있어요. 고려대학교 김형중 교수는 ... ...
- [가상 인터뷰] 코끼리 아저씨는 코가..., 흡입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나오는 속도보다 거의 30배 빠른 셈이야. 코에 그 물이 다 들어가?그럼. 연구팀은 내가 최대 9ℓ의 액체를 코에 저장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어. 연구팀이 캘리가 액체를 마실 때 코를 초음파로 촬영해보니, 콧구멍을 확장해 코의 부피를 최대 64%까지 늘린다는 걸 발견했지. 그래서 저장 능력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물속에서 숨 쉴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녹인 뒤 쥐와 돼지의 항문으로 주입한 결과, 동물 혈액의 산소 농도가 올라갔어요. 체내로 산소가 공급된 것이죠.연구팀이 포유동물의 장호흡을 연구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장호흡 기술이 발전하면 폐호흡이 힘든 환자들을 구할 수 있어요. 연구팀은 논문에서 “코로나19 사태로 인공심폐 장치가 ... ...
- [인터뷰] ‘어펜져스’ 맏형을 만나다, 승리 비결은 집중 또 집중!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있는 ‘신나는 시간’이라고 생각하면 어떨까요? 게임을 하듯 친구들과 혹은 나 자신과 내기를 하면서 훈련을 할 수도 있지요. 문채원 : 2024년 파리올림픽에도 꼭 나오시면 좋겠어요. 나와 주실 거죠? 김정환 : 파리올림픽 때까지 부상 없이 건강하다면 저도 경기에서 뛰고 싶어요. 만약 그럴 수 ... ...
- [특집] 암호화폐 아직은 반쪽짜리 화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거래 내역을 볼 수 있어요. 결국 공개주소와 신원의 연결고리가 맞춰지면 내 모든 거래 내역이 낱낱이 드러날 수 있는 거예요. 그러니 프라이버시 문제에서 완전히 자유롭다고 하긴 어렵겠죠. Q어떻게 암호화폐가 개선되어야 할까요?처음 지폐는 목판인쇄로 찍어냈어요. 그런데 누군가 목판을 ... ...
- [가상 인터뷰] 요즘 대세는 금니가 아니라 '희소광석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바다 근처에서 살다 보니 바닷가 바위에 붙은 조류를 먹으며 살아. 조류를 바위에서 떼어내려면 단단한 바위를 긁어야 해. 그래서 우리의 이빨도 아주 튼튼하고 견고하지. 엄청 튼튼한 이빨들이 수백 개나 있다고! 이빨이 얼마나 단단한데?6월 8일,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재료공학과 더크 조스터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킹크랩과도 … (하략) 칼로리(calorie) 칼로리는 물체가 주고받는 에너지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열’을 뜻하는 라틴어 단어인 ‘calor’에서 유래했지요.물리학에서 칼로리(cal)는 물 1g의 온도를 1℃ 올리는 데 드는 열량을 이야기합니다. 에너지의 다른 단위인 ‘줄(J)’로 환산하면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그물무늬 패션의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있는 케냐, 소말리아, 에티오피아의 초원이야. 난 지금 한국에 있는 동물원에서 지내고 있어. 아마 동물원에 나를 보러 오는 친구들이 많을 거야. 동물원에 있는 기린은 대부분 그물무늬기린이란다. 기린이 한국에 처음 오게 된 건 1971년이었어. 한 기업의 대표가 일본에서 기린 부부 한 쌍을 ... ...
- [특집] 암호화폐 은행을 대신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사람들이 모두 똑같은 장부(블록) 복사본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어떤 한 사람이 몰래 내용을 수정하려고 해도 조작이 불가능해요. 하나의 장부를 바꾼다 해도 모두 똑같은 장부를 갖고 있어 한 글자라도 수정하면 금세 가짜로 들통나 버리거든요.원화나 달러 같은 기존의 화폐는 장부(블록)를 관리하는 ... ...
- [기획] 나는 건강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우선이지요. 매년 약 5㎝씩 키가 자라고 연령에 따라 비만 기준이 달라지기 때문이에요. 내 몸이 건강한지 살펴보는 방법 중 하나는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인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를 계산해 보는 거예요. 성인은 BMI가 18.5 이하이면 저체중, 25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돼요.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