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벽
완비
천의무봉
완전무결
전부
전체성
극치
d라이브러리
"
완전
"(으)로 총 2,046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순간부터 시간을 재기 시작한다. 달이 점차 시야에서 벗어나는데, 달이 시야 밖으로
완전
히 사라지는 순간까지 시간을 잰다. 대략 2분 남짓 걸릴 것이다.달은 하늘에서 1분 동안 0.25°를 움직이기 때문에 이 시간으로 달의 시직경을 계산할 수 있다. 즉 달이 사라지는 데 걸린 시간을 T(초)라 하면, 달의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마무리되면 복원하려는 문화재에 관련된 복원 도면과 논문을 수집해야 한다.
완전
하든 불
완전
하든 현재 존재하는 문화재를 답사해야 하고, 그밖에 도움이 되는 문화재의 미니어처를 만들거나 촬영해야 한다. 또한 기타 유사한 문화재의 국내외 자료를 수집하는 등 문화재 관련 자료를 최대한 모아야 ... ...
3. 전세계 디지털 복원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미륵사에서 신비로움이 느껴진다.봉정사 극락전봉정사 극락전은 1972년에 실시된
완전
해체 조사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밝혀졌다. 건립 연대는 고려말기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붕을 보수한 흔적이 남아있는 것으로 미뤄 1백년-1백50년 앞선 것으로 추정된다. 봉정사 극락전에 대한 ... ...
두나무 가지 이어져 한 몸 된 연리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종류나 배열이 서로 달라 부름켜가 연결될 수 없으며 양분 교환은 어림없는 일이다.
완전
한 연리란 같은 종의 나무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이다. 사랑으로 승화옛 사람들은 덕망 있는 군주가 천자의 지위에 오르면 신비스런 봉황새가 출현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낙향한 선비들은 벽오동나무 한그루를 ... ...
인류 최초의 발명품 이쑤시개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돼 초식을 위주로 하게 되자 디아스테마타가 필요 없게 됐다고 하지만 소나 말의 경우
완전
한 초식동물인데도 디아스테마타가 있다.아직 불을 발견하지 못한 고대인들은 음식물을 날로 먹어야 했다. 그런데 개와 달리 어금니와 앞니 사이에 디아스테마타가 없는 인간은 음식 찌꺼기가 이빨 사이에 ... ...
ㅣ인간복제 반대ㅣ 인간존엄성 정면 도전하는 인간복제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못한 인위적 세포조작이 가해진 인공적인 생명체이며 유전적으로도 정체해 있고 불
완전
하다. 이 때문에 독립된 인간으로써 인정받기 어려워 차별될 가능성이 높다.특히 치료적∙영생적∙종교적 목적으로 복제인간이 탄생할 경우, 복제에 개입한 집단과 복제인간의 관계가 신분적 상하 또는 종속된 ... ...
Ⅲ 사람이 주인 되는 인터페이스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모바일의 예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적용하려는 목적에
완전
하게 도달하지 못한다 해도 노력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인터페이스의 목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있는 듯 없는 듯 생활의 일부로갈라진 것은 합해짐을 꿈꾸기 마련이다. 둘이 태생과 속성이 다르더라도 시간의 ... ...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복원 작업이 이뤄졌다.이 때의 건물 복원 작업은 다른 지역과 달리 지상의 건축물이
완전
히 사라져 원형을 알 수 없는 경우로,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발굴된 건축부재를 적극 활용해 부분적인 원형복원과 상상복원을 결합시키는 시도를 했다. 하지만 복원 건축물의 전체적인 풍으로 볼 때 당시의 ... ...
왕초보자 위한 마라톤 훈련법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볼 수 있다. 즉 스피드가 있어야 한다. 훈련방법으로는 인터벌 훈련이 적합하다.
완전
초보 때 장거리에 익숙해지기 위해 속보와 조깅(또는 걷기와 조깅)을 반복하는 인터벌 훈련과는 다르다. 이 단계에서 하는 인터벌 훈련은 빠른 러닝과 느린 러닝을 반복하면서 스피드있게 달리는 방법이다. 또한 ... ...
양초가 불을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양초의 불꽃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뉜다. 가장 바깥쪽은 겉불꽃으로, 산소의 공급이 잘 돼
완전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온도가 가장 높아 1천4백℃에 이른다. 가운데 부분은 속불꽃으로 산소의 공급이 부족해서 생긴 그을음(탄소 알갱이) 이 열을 받아 빛을 내고 있으며, 온도는 6백℃정도다. 가장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