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안
위문
달래기
회유
안위
안심
유화
d라이브러리
"
위로
"(으)로 총 2,037건 검색되었습니다.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그런 다음 특정한 방향성 없이 손가락에 자극을 줬다. 그랬더니 실험참가자들은 자극이
위로
올라가는 것처럼 느낀다고 보고했다.이런 촉각 일루전은 자극기 없이도 간단하게 확인해볼 수 있다. 농구공처럼 둥근 물체를 20초 정도 손바닥으로 눌러보자. 그런 다음 평평한 바닥에 대보자. 어떤 느낌이 ... ...
완전궁금! 올 여름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바로 산이 있는 지역! 수증기를 잔뜩 머금은 공기가 움직이다가 산을 만나면 산을 타고
위로
올라가서 비구름이 되거든요. 실제로 지난 100년 동안 태백산맥 주변지역에서 집중호우가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깜짝 예보올 여름은 장마가 없다?기상청은 올해부터 장마가 언제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바람이 건물에 부딪치면 상하좌우로 퍼지게 된다. 아래로 흘러간 바람은 땅에 부딪친 뒤
위로
다시 솟구치며 소용돌이를 만들어 낸다. 양 옆으로 흘러간 바람은 건물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과하면서 속도가 더욱 빨라져 돌풍이 된다. 이렇게 갑작스럽게 생긴 돌풍을 ‘빌딩풍’이라고 한다.빌딩풍은 ... ...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움직이기 쉽다. 그리고 머릿속에서 뭔가를 꾸며 내고 있을 때 시선은 오른쪽이나 왼쪽
위로
향할 때가 많다.❷ 한쪽 입가만 움직이거나 한쪽 눈꼬리만 올라간다.거짓말을 하면서 가짜 표정을 만들어 낼 때는 가짜 표정의 특징이 나타난다. 즉, 좌우가 똑같이 움직이지 않고 어느 한쪽만 두드러지게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누르면 지렛대가 움직이면서 그 끝에 붙어 있는 놋쇠막대(탄젠트)가 현을 아래에서
위로
올리면서 필요한 음 높이를 만든다. 동시에 가볍게 현을 때리면서 진동을 일으켜 소리를 낸다. 현의 길이에 따라 각각 음이 정해져 있는 피아노와 다르지만, 현을 때린다는 공통점이 있어서 연주 방법에 따라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훑고 지나가거나 빠르게 날기도 하고 격자가 작아지거나 커진다. 곧이어 배우들이 무대
위로
다시 등장하고 대형 스크린에는 은빛 비눗방울 폭포가 나타난다. 움직임이 클수록 비눗방울은 점점 많아지고 더 커진다.재미있는 점은 스크린에 나오는 장면은 원래 만들어 놓은 것이 아니며 무대 위에는 ...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기묘한 광경을 마주하게 된다. 어선에서 수면 쪽을 내려다보면 불빛에 이끌린 갈치가 물
위로
스멀스멀 올라오는 모습이 보이는데, 그 모습이 희한하기 짝이 없다. 머리와 꼬리를 앞뒤로 하고 헤엄치는 다른 물고기들과는 달리 머리를
위로
, 꼬리를 아래로 내린 상태로 몸을 꼿꼿이 세워서 헤엄치는 ... ...
신 세계 7대 자연경관 후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공간이며, 동시에 먹잇감을 구하는 사냥터다. 결국 산호초 섬은 마치 천국의 일부가 바다
위로
떨어진 듯 한없이 고요하고 평화로워 보여 ‘가고 싶은 신혼여행지’로 인기가 높지만 사실 해양 생태계의 ‘전쟁터’다 ... ...
패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속도가 변한다. 공은 처음에는 빠른 속도로 올라가지만 포물선의 정점에 가까울수록
위로
솟구치는 속도는 느려진다. 그리고 포물선의 정점에서 공이 잠깐 멈추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점점 속도는 빨라진다.뉴턴은 수직방향으로 변화하는 속도의‘비율’이 일정하다고 가정했다. 가령 축구공이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일렬로 깔아놓은 뒤 그
위로
사과 사이의 움푹 들어간 곳에 두 번째 층을 쌓고 또 그
위로
움푹 들어간 곳에 세 번째 층을 쌓는 방식이다.사실 상인들은 수천 년 전부터 둥근 과일을 이런 식으로 쌓아놓고 손님을 맞았다. 천체의 운행을 설명한 ‘케플러의 법칙’으로 잘 알려진 독일의 천문학자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