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속도에 따른 입자들의 운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대기 중에 존재하는 질소와 산소에서부터 대기 밖에서 지구주변을 공전하고 있는 인공
위성
에 이르기까지 모든 물체에는 만유인력이 작용하며 속도의 크기에 따라 그들만의 운동이 결정된다. 이러한 입자들의 속도에 영향을 주는 물리량에는 무엇이 있을까? ...
태양이 쓰고 있는 불꽃 왕관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NASA)이 지난해 2월 발사한 태양관측우주선(SDO)과 일본이 2006년에 쏴 올린 태양관측
위성
히노데(Hinode)로 태양을 관측했다.그 결과 태양 표면과 가까운 대기층(채층)으로부터 플라스마가 분수처럼 빠르게 상승해 가장 바깥층까지 닿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플라스마는 이온핵과 자유전자로 이뤄진 ... ...
태양계 탐사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보이저 1호가 태양계의 끝에 있다는 소식을 지난해 12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발표했다. 1959년 소련이 스푸트니크
위성
을 우주로 쏘아 올린 후 인류는 수많은 탐사선을 우주로 쏘아 올렸다. 지금도 많은 탐사선이 태양계를 탐사하고 있다. 현재 활동하고 있는 탐사선을 정리했다.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파란색, 야당과 무소속 의원은 빩간색으로 표시됐다. 두 진영이 뚜렷이 분리된다.
위성
으로 찍은 지구의 밤풍경을 보면 도시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이들이 지닌 네트워크 모양은 여러 가지 물리 법칙을 낳고 있다.도시를 지배하는 물리법칙?물리학자들은 도시를 움직이는 법칙을 찾기 위해 ... ...
금성과 달의 모양 변화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별과 달의 분화구를 관찰했다. 나아가 목성 주위를 원을 그리며 돌고 있는 4개의 작은
위성
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모든 천체가 지구 주위를 도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또 태양이 중심에 있다면 반달보다 큰 금성의 위상 변화가 관찰돼야 한다는 코페르니쿠스의 가설을 망원경을 통해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런 말까지 나오는 이유는 스텔스기가 핵무기나 탄도미사일, 고성능 레이더, 군사
위성
과 함께 전략무기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스텔스 폭격기는 하늘에서 갑자기 나타나 폭탄을 쏟아 붓는다. 눈앞에서 폭탄이 터질 때 까지 두 손 놓고 있다가 당하는 수밖에 없다. 핵무기라도 장착하고 날아오는 ...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플라스틱을 형상기억플라스틱이라고 해요. 이 플라스틱을 이용해 만든 휴대전화는 인공
위성
안테나처럼 접었다가도 열을 가하면 다시 원래 모습으로 돌아온답니다. 또 병을 치료하는 데 필요한 물질을 작게 접어 몸 속에 넣은 후 다시 원래대로 되돌릴 수도 있어요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가로, 세로 길이가 10m나 되는 거대한 돛이 접혀 있다. 로켓에 실려 우주로 나간 이 인공
위성
은 두께가 약 0.0075mm인 돛을 방패연처럼 펼치고 다닌다. 우주쓰레기를 대기로 떨어뜨려 저절로 불타 없어지게 하는 일이 가능한지 보기 위해 띄운 나노세일 D는 태양빛으로 움직여 스스로 궤도를 이탈할 ... ...
아름다운 수학 선율, 노력하는 자만이 느낄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보고 오랜 시간이 지났을 때 물체가 어떻게 움직였는지 예측하는 겁니다. 현재 인공
위성
의 궤도를 예측하는 단계에 이르렀죠.”요코즈 교수가 동역학계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박사과정 지도교수였던 미셜 에르만 교수의 영향 때문이다. 그는 동역학계의 창시자다. "에르만 교수는 제가 ... ...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심해의 열수구에서 광물질에 의존해 에너지를 얻으며 살아가는 미생물의 존재는 목성의
위성
인 유로파의 바다 속에 생명체가 살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물론 이번 연구는 생명을 이루는 6대 원소를 대체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보다 훨씬 획기적이다.일부 과학자들은 현재 알려진 것과 전혀 다른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