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발전될 모습에 대해 친절한 설명을 들을 수 있어 즐거웠다”며 “미래에 우주기지나 인공
위성
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빨리 개발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영진 책임연구원은 “김진유 군이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깊이 공부해 온 것 같다”며 “미래 기술에 대한 꿈을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파란색, 야당과 무소속 의원은 빩간색으로 표시됐다. 두 진영이 뚜렷이 분리된다.
위성
으로 찍은 지구의 밤풍경을 보면 도시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이들이 지닌 네트워크 모양은 여러 가지 물리 법칙을 낳고 있다.도시를 지배하는 물리법칙?물리학자들은 도시를 움직이는 법칙을 찾기 위해 ... ...
태양이 쓰고 있는 불꽃 왕관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NASA)이 지난해 2월 발사한 태양관측우주선(SDO)과 일본이 2006년에 쏴 올린 태양관측
위성
히노데(Hinode)로 태양을 관측했다.그 결과 태양 표면과 가까운 대기층(채층)으로부터 플라스마가 분수처럼 빠르게 상승해 가장 바깥층까지 닿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플라스마는 이온핵과 자유전자로 이뤄진 ... ...
태양계 탐사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보이저 1호가 태양계의 끝에 있다는 소식을 지난해 12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발표했다. 1959년 소련이 스푸트니크
위성
을 우주로 쏘아 올린 후 인류는 수많은 탐사선을 우주로 쏘아 올렸다. 지금도 많은 탐사선이 태양계를 탐사하고 있다. 현재 활동하고 있는 탐사선을 정리했다. ...
금성과 달의 모양 변화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별과 달의 분화구를 관찰했다. 나아가 목성 주위를 원을 그리며 돌고 있는 4개의 작은
위성
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모든 천체가 지구 주위를 도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또 태양이 중심에 있다면 반달보다 큰 금성의 위상 변화가 관찰돼야 한다는 코페르니쿠스의 가설을 망원경을 통해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런 말까지 나오는 이유는 스텔스기가 핵무기나 탄도미사일, 고성능 레이더, 군사
위성
과 함께 전략무기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스텔스 폭격기는 하늘에서 갑자기 나타나 폭탄을 쏟아 붓는다. 눈앞에서 폭탄이 터질 때 까지 두 손 놓고 있다가 당하는 수밖에 없다. 핵무기라도 장착하고 날아오는 ... ...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심해의 열수구에서 광물질에 의존해 에너지를 얻으며 살아가는 미생물의 존재는 목성의
위성
인 유로파의 바다 속에 생명체가 살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물론 이번 연구는 생명을 이루는 6대 원소를 대체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보다 훨씬 획기적이다.일부 과학자들은 현재 알려진 것과 전혀 다른 ... ...
타이탄에서 얼음화산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1000m 정도의 두 산이 있었으며, 두 개의 분화구 역시 확인했다. 얼음화산은 지표가 갈라져
위성
내부에 있는 물질이 밖으로 쏟아져 나오는 만큼 지구의 ‘화산’과 모든 면에서 비슷하지만 극저온의 얼음과 메탄이 쏟아져 나오는 점이 다르다. 타이탄의 대기는 수십억 년 전 지구처럼 질소와 메탄으로 ... ...
꼬마 우주왕복선 시험비행 성공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개발됐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4일에 한 번씩 지상의 특정 지점을 반복해서 관찰하는 정찰
위성
과 같은 궤도이기 때문이다. 미국은 “기존 우주왕복선을 대체하는 역할일 뿐”이라고만 밝히고 있다.무인우주왕복선이 시험비행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989년 구 소련이 개발해 이착륙 ... ...
아름다운 수학 선율, 노력하는 자만이 느낄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보고 오랜 시간이 지났을 때 물체가 어떻게 움직였는지 예측하는 겁니다. 현재 인공
위성
의 궤도를 예측하는 단계에 이르렀죠.”요코즈 교수가 동역학계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박사과정 지도교수였던 미셜 에르만 교수의 영향 때문이다. 그는 동역학계의 창시자다. "에르만 교수는 제가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