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장"(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없애는 효과가 있거든요. 나무는 광합성으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뒤 몸에 저장한답니다. 자, 아까 계산한 당신의 탄소발자국에 365를 곱해 1년 동안의 탄소발자국을 구해 보세요. 그런 뒤 소나무를 몇 그루를 심으면 탄소를 없앨 수 있을지 계산해 보세요. 네? ( )그루라고요? 후후후…, 올해 ... ...
- 경험을 측정하는 시대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사용자를 선정해 제품을 사용하도록 부탁했다. 모든 과정을 비디오 영상으로 촬영하고 저장했다. 사용자에게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행동을 기록하고 그 이유를 직접 질문해 확인했다. 그외 필요한 기능과 조작 방법은 무엇인지 질문하고 기술적으로 가능한지 확인했다. 관찰한 모든 자료를 종합해 ...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사실이 밝혀졌고 지방조직이 커질수록 렙틴의 수치도 올라갔다. 비만으로 지방을 저장하는 지방 세포가 커질수록 “이제 그만 먹어!”라고 하는 신호를 강하게 보내는 셈이다.비만 정복 환상은 깨지고프리드먼 교수팀은 이듬해 사람의 7번 염색체에서 쥐의 ob 유전자에 해당하는 유전자를 찾는 데 ... ...
- 첨단 융합기술의 산실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배운다.에너지 변환 및 저장 분야에서는 연료전지와 리튬이차전지, 수소의 생산과 저장을 연구한다. 화학, 재료, 에너지 공학의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나노과학, 바이오모사 등을 응용해 새로운 에너지 시스템을 개발한다. 바이오 에너지 분야에서는 동식물이나 미생물로부터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을 ... ...
- 첨단 과학 이끄는 대형 연구단지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부지에 있다.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하는 길이 205m의 선형가속기동과 지름 450m의 원형 저장링동으로 이뤄진 3세대 방사광 가속기를 보유하고 있다.흔히 ‘빛 공장’이라고 부르는 방사광 가속기는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해서 방사광을 만드는 시설이다. 우리나라에 단 하나뿐인 3세대 방사광 ... ...
- 판타스틱 경험디자인 월드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사진이 찍힌다. 아이폰의 대안은 독특한 조리개 이미지다. 카메라가 사진을 찍고 저장하는 과정 동안 카메라의 조리개 영상이 나와 닫혔다 열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사용자는 화면변화를 보면서 느린 반응 속도에 상대적으로 둔감해진다.③ 레스토랑 밖에서 기다리는 이유인기 있는 레스토랑에서 ...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네트워크 컴퓨터의 기능을 덧씌운 실제 브린에 불과하다. 하지만 앞으로 실제 기억을 저장할 수 있게 되면 브린은 로봇을 옮겨다니며 영원히 살 수 있는 것이다.넷, 로봇이 인간을 지배하거나 디스토피아로 이끌 것인가?커즈와일 Vs 세바스찬 승 Vs 네그로폰테▶커즈와일 박사의 ‘특이점 이후 시대’ ... ...
- 유통기한, 어떻게 정하는 거지?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지난 6월 8일 식품유통기한 산출 프로그램을 개발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저장 온도와 실험횟수 등 몇 가지 결과만 입력하면 실험한 제품의 유통기한을 쉽게 예측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덕분에 식품업체는 유통기한을 정할 때 복잡한 수학식을 이용해야 하는 어려움을 덜 수 있게 됐습니다. ... ...
- PART 1 모양의 비밀을 밝혀 줘~!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는 공간을 빈틈없이 활용하기 위해서다. 되도록 많은 양의 꿀을 저장하기 위해서 꿀벌의 집은 빈틈없이 연속되는 형태가 좋다. 평면을 빈틈없이 메우는 정다각형에는 정삼각형과 정사각형, 정육각형이 있다. 꿀벌은 그 중에서 왜 하필 정육각형을 선택한 걸까?두 번째 이유는 ... ...
- 마법의 숫자 7±2로 기억력을 높여라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조지 밀러는 1956년에 마법의 숫자 7이라는 개념을 발표했다. 사람의 뇌는 짧은 기억을 저장할 때 최대 7개의 문자나 숫자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서 그보다 적은 수로 쪼개서 외우는 것이 좋다는 내용이다. 그는 사람에 따라 5~9개로 조금씩 다를 수 있다며 7±2로 표현하고, 5~9개로 나눠진 단위를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