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대학"(으)로 총 2,4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창의설계 및 생산공학과학동아 l2009년 12호
- 1. 창의설계 및 생산공학이란 무엇인가요?인간의 역사는 도구의 발달과 함께해 왔다. 돌을 가공해 도구로 사용하면서 신석기 시대가 시작됐고, 증기기관의 발명은 18세기 산업혁명의 기반이 됐다. 이렇게 새로운 도구와 기기의 출현은 인류의 역사에 큰 획을 긋곤 했다.창의설계 및 생산공학 또한 과 ... ...
- 현대인 깨우는 물리학 강의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수능이 끝나자마자 기온이 뚝 떨어지고 차가운 바람이 쌩쌩 불던 11월 17일, 과학동아와 문지문화원 사이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책’ 수상자인 최무영 교수를 만나기 위해 서울대로 향했다. 최 교수는 서울대 자연대 물리천문학부에서 제자를 양성하고 있다.그의 방에 들어서자, 벽에 걸린 수많은 ... ...
- 몸속 영상에서 병든 부위 짚어 암 치료제 개발에 다가선다과학동아 l2009년 12호
- 편집자주‘기초과학이 여는 첨단세계’는 이번 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애독해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북한산을 등반하기 전 날씨를 미리 알아보려고 텔레비전을 틀었다. 기상예보관이 어디는 동쪽에서 비구름이 몰려오고 어디는 눈이 올 예정이라고 열심히 설명한다. 예 ... ...
- [수학에 길이 있다] 금융에 불어온 수학바람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오르락~, 내리락~. 빨갛고 파란 그래프가 뒤엉켜 춤을 추고 있어요. 8대의 모니터에 꽉 찬 그래프와 숫자는 멈출 줄 모르고, 회사 이름과 숫자가 열을 맞춰 빼곡히 차 있는 모습에 잠시 머리가 핑 돌 정도였어요. 눈동자만 굴리며 화면을 뚫어져라 쳐다보는 사람들 중에 오늘 만날 수학자가 있다는데 ... ...
- 달려라! 녹색 자전거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2호
- 두근두근, 두근두근, 두근두근….이게 무슨 소리일까요? 명예기자 정종희 친구의 심장이 두근거리는 소리예요. 종희는 지금 태어나서 처음으로 자전거 타기에 도전하고 있거든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중에는 자전거를 잘 타는 친구도 많을 거예요. 하지만 종희처럼 아직 못 배운 친구도 있 ... ...
- 오른쪽? 왼쪽? 보행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남극의 펭귄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구촌 사람들의 신기한 습성을 소개하는 과학 다큐멘터리 ‘펭귄이 본 인간사회’입니다. 오늘 주제는 줄지어 걸어다니는 습성입니다. 사람도 우리 펭귄처럼 떼지어 걸어다니는 습성이 있는데요, 복잡하거나 좁은 곳을 지날 땐 질서 정연하게 줄을 지어 걷는 영 ... ...
- 신종플루, 수학이 막는다!수학동아 l2009년 11호
- 얼마 전 초등학생 남자 아이가 신종플루에 걸려 목숨을 잃었어. 이젠 잠잠해졌다고 생각했던 신종플루와의 싸움이 다시 시작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끔찍한 생각마저 들어. 과연 바이러스는 얼마나 큰 힘을 가졌을까? 바이러스를 미리 알고 이겨 낼 수 없을까? 궁금한 게 너무 많아. 앞으로 바이러스 ... ...
- 한국 10대(代) 과학자들의 연구결실 뽐낸다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아인슈타인의 스승이었던 스위스 취리히공대 헤르만 민코프스키 교수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을 발전시켜 그 유명한 ‘시공간 개념’이라는 아이디어를 생각해낸 사람이다. 그는 20세기 최고의 수학자로 추앙받는 다비트 힐베르트와 오랜 친구였는데, 1909년 맹장염에 걸려 45세의 아까운 ... ...
- 기상 오보 바로잡을 파란 눈의 ‘구원투수’ 나섰다!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삼고초려의 재현이었다. 기상청 문을 두드린 지 세 번째 만에 ‘그’를 만날 수 있었다. 기자는 지난 4월 미국 오클라호마대의 켄 크로포드 석좌교수가 기상예보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줄‘그’로 선정됐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기상청에 전화를 했다. 하지만 불발. 기상청은 “외국 전문가를 영입할 ... ...
- kipa. 창의인재 육성에 적극 나선다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지난 10월 9일은 한글날이었다. 한글은 인류가 보유한 문자 중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자음과 모음이 과학적으로 조화돼 어떠한 음성과 글자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위대한 15세기의 발명품 뒤에는 세종대왕이 있었다.하지만 조선이 과학기술을 발전시킨 데에는 또 다른 주인공이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