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추측"(으)로 총 2,3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과학동아 l2012년 06호
- 파멜라 위성이 검출한 비정상적으로많은 양전자가 이 과정을 통해 탄생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제퍼슨연구소의 암흑광자 검출전략 - 텅스텐 원자에 전자를 충돌시켜 광자가 튀어나오게 한다. 광자는 키네틱 믹싱을 거쳐 암흑광자가 됐다가 다시 광자로 돌아온다. 광자가 쌍생성을 통해 전자와 ...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팽대부가 없는 나선은하를 관측해 중심에 있는 블랙홀의 질량이 태양의 1만~10만 배라고 추측했다. 그 뒤 다른 연구진이 행한 좀 더 정밀한 측정 결과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의 36만 배로 상향됐다. 지금까지 태양 질량의 수십 만 배 크기의 블랙홀이 수십 개 발견됐고 ‘중간질량 블랙홀(intermediate-mass ...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것도 바로 그 무렵이었다. 맥스웰처럼 위대한 물리학자도 등잔 밑은 어두웠던 것이다. 추측컨대 맥스웰 본인에게는 ‘작은 존재(악마)’가 머릿속 골칫덩이가 아니라 사람이 얻을 수 있는 자연지식의 한계를 말해주는 좀 더 원초적인 이야기가 아니었을까.[제임스 클락 맥스웰(1831~1879) - 영국의 ...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하지만 꼭 공룡만이 아니라 초기 포유류를 비롯한 다양한 척추동물에 기생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어요.[야이켈롭테루스 레나이아이를 복원한 모습(왼쪽)과 원래 화석의 모습. 흔히 바다전갈이라고 부르지만 전갈과는 큰 상관이 없다.]지구 탄생 이래 최대의 잠자리저만 이렇게 커다란 곤충이었던 ... ...
- 진화심리학-레밍, 그들은 왜 자살할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한다. 그래서 앞에 장애물이 있어도 계속 앞으로 움직인다. 이런 가설들 외에도 많은 추측들이 난무하고 있다. 진화심리학에서는 이 현상을 유전자의 입장 또는 집단, 즉 개체의 입장에서 해석하려는 시도도 행해진다. 집단 선택론을 지지하는 학자들은 레밍이 자살하는 이유는 바로 그들의 종족을 ... ...
- 언터처블 : 5의 비밀수학동아 l2012년 05호
- ‘불가촉 수 중 5가 유일한 홀수’라는 추측의 관련성을 생각해 보자. 만약 골드바흐의 추측이 참이라면, 2보다 큰 짝수 2k는 두 소수 p₁, p₂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2k=p₁+p₂). 이 때 두 소수 p₁, p₂가 서로 다르다면 p₁×p₂의 진약수의 합은 1+p₁+p₂=1+2k가 되어, 2k+1은불가촉 수가 될 수 없다.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수학동아 l2012년 05호
- 됐다. 숫자 0을 발명한 사람은 정확하지 않지만, 6세기경 인도에서 사용하기 시작했다는 추측이 있다.+, -, ×,÷ 사칙연산 기호+는 13세기 이탈리아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사노가 ‘3더하기 4’를 ‘3과 4’로 쓰면서 처음 쓰게 됐다. 라틴어로 ‘과’를 줄여 ‘et’라로 쓰는데, 이를 줄여 + 기호가 ...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언급했다. [소장 내벽에 정착해 살고 있는 박테리아(녹색)의 모습.] 식단을 보면 장유형 추측할 수 있어5개월 뒤인 2011년 10월 과학저널 ‘사이언스’에는 장유형과 평소 섭취하는 음식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내용의 논문이 실렸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를 비롯한 공동연구자들은 98명의 식습관과 ... ...
- ‘부바’와 ‘키키’는 어떻게 생겼을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설명으로 가득한 책도 대중과학서의 이름으로 많이 출간됐다. 물론 이 책에도 가설과 추측은 상당히 많이 들어 있다. 하지만 저자는 그 사실을 숨기지 않는다. 숨기지 않고 드러내기에, 독자는 적어도 올바르게 판단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 ...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영향을 미치는지를 미리 알지 못하면, 변형돼 도착한 초음파 신호만으론 바다 속 상태를 추측할 수 없다.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데 미지수가 너무 많아서다.해답은 러시아에 있었다. 러시아는 30년 동안 해수 표본을 채취해 바다의 기초적인 성질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었다.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