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홍합과 누에고치로 장기 출혈 막는다…새로운 지혈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2.15
- 있다. 포스텍은 차형준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주계일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과 교수, 이종원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홍합과 누에고치에서 유래한 천연 단백질을 사용해 ‘이중층 나노 섬유막 지혈제’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 소고기 들어간 쌀알, 국내 연구진이 개발…새 단백질 공급원 될까동아사이언스 l2024.02.15
- 맛과 풍미를 내는 단백질 공급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홍진기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매터’에 쌀알과 소의 세포를 통합해 만든 배양육을 개발했다고 14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동물세포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쌀을 만들기 위해 우선 지역 도살장에서 한우의 근육과 ... ...
- "침 한 방울로 유방암 진단할 수 있다"연합뉴스 l2024.02.14
- 제공 침 한 방울로 유방암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플로리다 대학 화학공학과 연구팀(주저자: 완샤요쏸)은 소량의 타액 속에 들어있는 2가지 암 생물 표지로 유방암을 진단할 수 있는 휴대용 검사 장치를 개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13일 보도했다. 손바닥만 한 ... ...
- [과기원NOW] GIST, 값비싼 질화갈륨 반도체 '무한 양산 기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2.14
- 노준석 교수와 소순애 인공지능대학원 연구원(현 고려대 전자기계융합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친환경 에너지 기술인 복사 냉각의 기본 원리부터 생산 기술, 응용 분야, 최근 연구 동향 등을 담은 리뷰 논문을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보고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 ...
- 복잡한 미생물 대사과정, AI 기술로 풀었다동아사이언스 l2024.02.14
- 과정으로 미생물의 성장을 제어한다. 한국연구재단은 윤성호 건국대 시스템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AI와 가상세포 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영양 조건에서 미생물 성장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대사반응을 규명했다고 14일 밝혔다. 미생물은 주어진 영양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세포 ... ...
- 노후 건물·항공기 균열, 한번에 찾는다동아사이언스 l2024.02.14
- 나노융합장비연구부 나노디스플레이연구실 선임연구원 연구팀과 김윤영 서울대 기계공학부 석좌교수 공동연구팀이 노후 구조물의 결함을 한 번에 발견할 수 있는 '원형 편광 초음파'를 생성하는 메타물질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노후 구조물에 대한 기존 비파괴 검사는 직선 형태로 진동하는 ... ...
- 소형모듈원자로 규제연구 추진단 초대 단장에 김인구 박사동아사이언스 l2024.02.14
- 이끌어 갈 추진단장으로 김인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책임연구원(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겸임 교수)를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추진담장 임기는 3년이며 평가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이번에 선정된 김 추진단장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 재직하면서 연구정책단장, 원자력심사단장 ... ...
- 영하 40도에도 안 어는 아연전지…"전기차 성능 저하 막을 것"동아사이언스 l2024.02.13
- 성능이 저하되는 전기차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는 이상영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곽상규 고려대 교수팀과 함께 안전하고 저렴하며 극저온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새로운 아연전지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에너지 수요 증가와 기후변화 대응을 목적으로 ...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도서관, DNA어린이과학동아 l2024.02.10
- 있어요." Q. DNA가 우리 일상의 저장 장치를 대체할까요. A(최영재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 교수). "DNA는 정보를 저장하고 다시 불러오는 읽기쓰기 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그래서 꼭 보관해야 하지만 자주 확인할 필요 없는 자료를 보관하는 데 적합해요. 매번 수정해야 하는 정보는 계속 기존 ... ...
- [과기원NOW] KAIST, 유전자가위 광유전학으로 조절하는 기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2.07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온라인판에 지난달 22일 게재됐다. ■ 포스텍은 차형준 화학공학과 교수와 정우진, 박우찬, 안성현 동아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해조류에서 유래한 천연 탄수화물을 기반으로 망막 박리 치료용 인공 유리체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해조류에서 유래한 천연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