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낸드
사기
뉴스
"
부정적
"(으)로 총 1,133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등학생도 과학 봉사활동 해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18
준비도 안 돼 있기 때문이다. 봉사하는 학생 본인에게도, 봉사를 받는 어린이에게도 모두
부정적
인 영향을 주기 십상이다. 이들에게 올바른 동기를 심어주고, 제대로 봉사할 수 있도록 누군가 도와준다면 어떨까? 동아사이언스와 스터디랜드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사이언스멘토 프로그램’은 이런 ... ...
[에디터 칼럼]'빨아주기'와 '조지기'의 사이
동아사이언스
l
2013.07.16
없지만, 바로 옆에서 듣고 있노라니 슬그머니 부아가 치민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과연
부정적
인 보도를 하면 새로운 기술의 싹이 잘려나가고, 기업하기가 어려워질까. 기자들이나 홍보인들이 쓰는 속어 중 ‘빨아주기’와 ‘조지기’라는 말이 있다.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빨아주기는 ... ...
조선왕조의 치부를 그대로 드러낸 王
동아사이언스
l
2013.07.14
계비이며 진성대군의 어머니인 대비 윤씨에게로 가서 거사의 사실을 알렸다. 처음에는
부정적
인 반응을 보이던 대비는 신료들의 요청이 계속되자 연산군 폐위와 진성대군의 추대를 허락하는 교지를 내렸다. 정릉 능침에서 본 정자각 - 이종호 박사 제공 현대인들은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바로 ... ...
골치아픈 수학 서술형 문제, 독서가 답이다
수학동아
l
2013.07.03
일명 ‘수포자’라는 말이 생겨났을 정도로 우리나라에서 수학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정적
이다. 실제로 수학을 어려워하는 학생도 많다. 2012학년도 1학기 일반고 1학년 학생들의 내신 성적을 분석한 결과 전체 1637개교 중 절반에 가까운 741개교(45.3%) 학생들의 수학 평균점수가 100만점에 50점도 채 ... ...
향기로 느끼는 참을 수 없는 본능
동아사이언스
l
2013.06.23
흘려듣게 된다. 왜 그럴까? 우리 뇌에는 미래에 대한 긍정적 사고를 강화하지 않는
부정적
데이터는 몰래 지워버리는 망각이 설계돼 있기 때문이다. 진화 과정에서 낙관주의가 선택된 것은 긍정적 기대가 생존 확률을 높이기 때문이라는 가설이 있다. 낙관 편향이라는 이런 성향은 큰 재앙을 ... ...
얼음이 녹아 물로 바뀌는 것 간단해보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6.23
85%만 더 증가하면 충분하다는 것과 도시 규모가 2배 성장할 때 교통사고나 질병 등
부정적
인 요소의 발생율은 15% 증가한다는 사실 등을 알아내고 이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했다. 베텐코트 박사는 “도시의 진화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들을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마련한다면 도시 ... ...
쉬워지는 논술… 상식 자랑 말고 핵심만 추려 적는 연습을
동아일보
l
2013.06.20
쓴 글에 대한 찬반을 물었다. 이 수험생은 “훌륭한 행위자가 존재하지만 인재를
부정적
인 시각으로 적대시하면 자문화중심 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식으로 답안을 써냈다. 제시된 글에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를 마지막까지 뚜렷이 드러내지 않았다. 이 수험생은 “논술은 논제에 답하는 것인데 ... ...
[기자의 눈] 과학기술로 사회가 안전해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6.19
초등학교 1학년 교실에서조차 휴대폰 없는 아이를 찾기가 어려울 정도다. 너무
부정적
인 면만을 드러낸 느낌도 없지 않다. 그러나 부정하기 어려운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그래서인지 새 정부 들어 가장 많이 듣는 말인 ‘창조경제’에는 ‘국민행복’ ‘국민안전’이라는 단어가 줄곧 ... ...
삼성-애플, 이젠 적이 아닌 같은 운명?
동아일보
l
2013.06.15
있다. ○ “삼성전자와 애플, 같은 길 걸을 것” 장밋빛 일색이던 삼성전자에 대해
부정적
전망이 나온 것은 갤럭시S4가 보여준 혁신의 수준이 시장의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가 나왔기 때문이다. 아이폰5를 공개한 애플도 같은 평가를 받았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폰 시장에서 혁신적이라고 평가받는 ... ...
"창조경제는 인간의 본능적 욕구를 상품화하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13.05.30
“이스라엘 모델이 한국에 적합한 모델인지는 다시 한 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며
부정적
인 입장을 내비쳤다. 그는 이스라엘의 발전은 사실 미국의 대규모 투자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전제하며, 한국에는 이미 성공적인 글로벌 기업들이 많기 때문에 창조경제로 나감에 있어서 기존의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