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으)로 총 6,5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역대 최대 규모 '뇌 세포 지도' 공개...뇌 기능, 분자 단위로 살핀다동아사이언스 l2023.10.13
- 인간, 침팬지, 고릴라, 히말라야원숭이, 명주원숭이를 대상으로 단일 뇌 세포 수준에서 유전물질이 담긴 리보핵산 총합(단일 핵 전사체)을 분석해 인간과 영장류의 뇌 세포 조직 차이를 알아내고 침팬지의 뇌 신경세포는 인간보다 고릴라와 더 가깝다는 점을 밝혀냈다. 에멜리에 브라운 스웨덴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대기만성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2023.10.12
- RNA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에 대한 특이적인 면역반응을 유도하거나, 발현된 단백질 자체를 유전자 치료 교정용 단백질이나 항체로 사용하는 경우 등이다. 선천면역반응의 핵심은 외부에서 들어온 RNA를 인식하는 인체의 패턴인식수용체(PRR)인 TLR(toll-like receptor)이다. 외부 RNA에 의해 활성화된 TLR은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2023.10.11
-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결국 2020년에는 에마뉘엘 샤르팡티에와 제니퍼 A.다우드나가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의 공로로 ‘화학상’을 수상하기에 이르렀다. 올해의 화학상 수상 업적인 ‘양자점’도 물리학상의 업적이라고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 변화가 화학의 정체성이 빠르게 변하고 있기 ... ...
- "조류독감 3년 내 사라질 수도"...유전자교정으로 저항성 닭 최초 탄생동아사이언스 l2023.10.11
- 유전자 교정 기술은 사실 그 자체만으로 동물 복지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유전자 교정 기술을 달걀 수정란에 적용하면 불필요한 살처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 ...
- [기술패권 시대 우리말] ⑧전문가들 "낯선 용어 인지도부터 높여야"2023.10.11
- 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의학분야로 예를 들면 암 치료에 혁명을 가져올 세포유전자치료제와 같이 우리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연구주제가 있지만 이를 설명하기 위한 용어들의 인지도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고며 "용어는 처음 들여올 때 개념이 정립되고 알려지는 만큼 신기술이 ... ...
- 영유아가 뇌수막염에 취약한 원인 밝혔다동아사이언스 l2023.10.10
- 이 같은 차이가 경막 내 면역세포에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면역세포에 대한 단일세포 유전자 분석을 진행한 결과, 새끼 생쥐는 성인 생쥐처럼 성숙한 면역세포가 다양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경막 대식세포가 특히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 환경과 현대 인류를 잇는 열쇠 '고대 DNA'동아사이언스 l2023.10.08
- 환경에 대한 연구까지 가능하게 됐다. 유전체학이 발전하면서 생물 집단 간 유전정보의 비교분석이 가능해졌다. 각 생물종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진화했는지 더 자세히 알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다양한 대륙에 흩어져 살던 조상들의 생활상도 추적할 수 있게 됐다. 사이언스는 "고대 DNA는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이 발전할수록 질병도 발전한다2023.10.08
- 만나는 소화의 세계』, 『의학사 노트』, 『전염병 치료제를 내가 만든다면』, 『내가 유전자를 고를 수 있다면』, 『의학, 인문으로 치유하다』, 『내 몸을 찾아 떠나는 의학사 여행』, 『이어령의 교과서 넘나들기: 의학편』, 『줄기세포로 나를 다시 만든다고?』, 『지못미 의예과』 등이 있다 ... ...
- 자연광 노출, 당뇨 예방에 도움 준다동아사이언스 l2023.10.07
- 포도당과 혈장 유리산 패턴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생체 리듬 조절에 도움을 주는 유전자인 Per1과 Cry1은 인공광보다 자연광에서 활성화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자연광에 노출되면 신진대사에 도움이 되고 당뇨, 비만 등 대사질환 치료와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 ...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2023.10.06
- 장기 시냅스 가소성의 효과에 의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장기 시냅스 가소성은 새로운 유전자 및 단백질의 변화를 수반하며 신경회로망의 구조적 변화를 야기한다. 따라서 HD-tACS에 의해 새롭게 발생된 신경회로망 활성은 장기 시냅스 가소성을 조절하는 기전들의 스위치를 켜게 되어 뇌기능 변화를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