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치
조화
믹스
혼합
화해
연합
결합
뉴스
"
화합
"(으)로 총 1,206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정] 한국화학연구원 外
2014.12.02
서영덕 △화학인프라본부 화학분석센터장 김종혁 △신뢰성평가센터장 변두진 △한국
화합
물은행 센터장 이현규 △화학안전연구·평가센터장 공기정 △C-산업육성센터장 이철위 △화학시뮬레이션연구센터장 장현주 △ 소외질병 글로벌 R&D센터장 정영식 ■오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책기획관 ... ...
‘반데르발스 힘’ 예상보다 10% 더 세다
2014.11.26
단백질처럼 복잡한 분자들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탄소
화합
물 분자를 뾰족한 금속 끝부분에 붙인 뒤 이 결합물이 마치 회전하는 포크처럼 움직이도록 만들었다. 그런 뒤 결합물에서 분자를 떼어 낼 때 나타나는 움직임의 변화를 원자현미경으로 측정해 반데르발스 힘을 ... ...
미니어처 크기 ‘나노 배터리’ 나온다
2014.11.11
전기를 생성시키는 전해질을 넣고 양쪽 구멍 끝부분에 오산화바나듐이라는 금속
화합
물을 첨가해 양극과 음극으로 만들었다. 그 결과 가로세로 각각 1cm의 손톱만한 넓이에 20억 개의 나노 배터리가 들어 있는 초소형 구조물을 완성했다. 이상복 메릴랜드대 교수팀이 개발한 나노동공 베터리. ... ...
안약으로 실명 원인 1위 질환 치료
2014.11.07
이 현상을 일으키는 핵심 물질인 ‘RIPK1’ 단백질을 억제하는
화합
물을 개발했다. 이
화합
물로 점안액을 만들어 쥐와 돼지, 토끼 등을 대상으로 동물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시신경 세포의 사멸을 막는 효과가 뛰어났다. 김 교수는 “현재까지 시신경 세포의 죽음을 막는 치료제는 개발되지 ... ...
5만 번 충·방전해도 끄떡없는 고용량 충전지 나왔다
2014.11.06
구멍이 많고 속은 비어 있는 공 모양의 탄소계 물질을 만들었다. 이어 이 물질 속을 금속
화합
물로 채워 새로운 구조의 소재를 개발했다. 이 물질은 기존 이차전지보다 에너지 저장 용량이 2.5배 많고, 충·방전을 5만 번 넘게 할 수 있을 정도로 수명이 반영구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강 교수는 ... ...
스스로 빛 내는 고효율 형광 유기발광 소자 개발
2014.11.04
높인 유기발광물질을 개발했다. - 단국대 제공 최근 학계에서는 빛을 내는 유기
화합
물을 이용해 색을 표시하는 형광 유기발광소자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기존 유기발광소자보다 효율이 3배나 높은 형광물질을 새롭게 개발해 화제다 이준엽 단국대 ... ...
간·신장 훼손 안 시키는 면역억제제 후보물질 개발
2014.10.29
면역세포의 활동을 억제해 결과적으로 면역능력을 낮췄다. 박 교수는 “새로 개발한
화합
물이 최근 활발히 쓰이는 면역억제제보다 효율은 20% 이상 높으면서도 세포독성과 부작용이 적다”며 “추후 연구를 통해 면역억제제 신약개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산화탄소를 에너지로 사용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10.29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최근, 빛과 촉매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다시 탄소
화합
물로 변환하는 연구가 개발돼 각광을 받고 있다. 빛에 의해 활성화 되는 반도체 촉매를 이용해 환원시킨 이산화탄소를 우리가 필요로 하는 형태의 에너지 또는 고부가가치 소재로 재생산하는 것이다. 이를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내 똥배는 정말 밀가루 때문일까?
2014.10.26
아미노산 결합체에 ‘엑소르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외부에서 기인한 모르핀 유사
화합
물이라는 뜻이다. 수천 년 이상 인류의 주식으로 사랑받아 온 밀이 왜 이렇게 된 걸까. 저자는 20세기 중반부터 이뤄지기 시작한 유전적 변형이 그 원인이라고 지목한다. 국제 옥수수 및 밀 육종 센터(IMWIC)가 ... ...
‘낮여밤닫’ 햇빛에 반응하는 스마트 윈도우
2014.10.22
액정 소재와 아조 벤젠계
화합
물을 혼합해 새로운 형태의 액정을 만들었다. 아조 벤젠계
화합
물은 빛을 만나면 분자 구조가 변하는 특성이 있어 빛의 유무에 따라 액정의 나선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연구팀은 액정의 위아래에 편광판을 부착해 빛의 유무에 따라 성질이 변하는 스마트 윈도우를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