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roject
기획안
프로젝터
프로
연구과제
사업안
스페셜
"
프로젝트
"(으)로 총 1,124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약 개발 협의체로 글로벌 신약 10개 개발 지원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7.15
상시적으로 운영하면 어떨까 싶다. ▽김준동 정책관=전주기 신약개발사업이라는 거창한
프로젝트
를 앞두고 우리나라 제약 산업이 과연 이러한 국가적인 사업을 감당할만한 능력이 있는지도 살펴야 한다. 카피약을 주로 만들고 있고, 대기업은 제약산업에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 상황에 있는 ... ...
합성세포 창조한 비결… “황당한 주제 당연하게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0.06.21
벤터 박사가 합성세포를 만들겠다고 선언했을 때만해도 무모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프로젝트
에 들어간 연구비는 4000만 달러(약 500억 원)에 이른다. 깁슨 박사와 20여명의 동료연구자들은 숱한 장애와 실패를 겪을 때마다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면서 이를 극복해왔다. 깁슨 박사는 “100만 여 개의 ... ...
“한국 BT, 비즈니스 인력 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5.06
정부 자금으로 할 수 있으면 당장은 좋겠지만 실패할 경우를 대비한다면 처음부터 좋은
프로젝트
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나을 것 같다. ▽문영춘=한국은 벌써부터 다국적 기업과 대형 기업을 벤치마킹하려고 한다. 벤치마킹은 10년 뒤보다 당장 2~3년 뒤를 따라갈 때 하는 것이다. 한국은 ... ...
“화이트 바이오에 주목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0.01.25
“이제 바이오 하려면 우선 나노기술을 알아야 하고 IT도 절대적으로 필요해요. 인간게놈
프로젝트
가 예상보다 빨리 결과가 나온 것도 IT 덕분이잖아요. 사람이 만든 것 중에서 반도체가 가장 복잡한데 반도체 한 개 안에 1억 개의 트랜지스터가 있어요. 이걸 사람이 일일이 세면 4000만 개밖에 못 ...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13
재단 등에 연구 과제를 따려고 해도 쉽지 않더라고요.” 학과에서 하는 공동연구
프로젝트
에 참여하기 전까지 6개월 동안 이 교수는 빚을 내 살았다. 처음 뽑은 석사 2명의 학비와 월급은 자신의 급여에서 줬다. 시료는 빚을 내 샀다. 그 빚이 5000만원을 넘었다. 불안했다. 가족에게 미안했다. 이 교수는 ... ...
“신약개발에 1조원 든다는 얘기는 과장”
동아사이언스
l
2009.09.12
계산할 수 있다. 문제는 연구개발이
프로젝트
별로 가는데 신약개발비는 제약회사의 전
프로젝트
를 합산한 것으로 발표하는 것이다. 신약개발에 일률적으로 얼마가 들어간다고 하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 500억만 있어도 충분히 글로벌 신약을 만들 수 있다. 계산방법 따라 달라, 통계 숫자 보단 ... ...
“효율적인 연구인력 관리가 성과의 지름길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09.08.18
마치게 된다. 이 사업은 국내 최고과학자들을 대상으로 연구개발비를 지원하는
프로젝트
로 다른 과학자들의 부러움을 살 만한 지원을 받는다. 정 교수는 그동안의 우수한 연구활동과 성과를 고려할 때 후속 연구비를 걱정해야 할 처지는 아니다. 그러나 연구지원시스템에 대한 아쉬움은 남는다. ... ...
“바이오는 기다림의 산업…글로벌 네트워크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09.07.07
쏟는다는 것. 노바티스도 650개 이상의 외부 연구소와 R&D 제휴를 맺고, 450건 이상의 공동
프로젝트
를 진행하고 있다. 야거 사장은 “한국의 바이오는 신약 발견과 개발에 상당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IT를 비롯한 과학기술, 임상의학, 인적 자원 등에서 훌륭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기 ... ...
“신약 개발 성공하려면 변리사부터 뽑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6.16
확인해 연구에 반영하기 위해서다. 극단적 사례지만 완성을 목전에 둔 연구
프로젝트
가 취소되는 경우도 있다. 이미 다른 기업에서 특허를 냈다면 더 이상의 연구는 아무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신 박사는 “미국을 비롯해 대형 제약회사 대부분은 이와 유사한 형태로 일하고 있다”며 “한국 ... ...
“신약개발, 전략적 사고 가지고 끈질기게 접근해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6.02
등을 제공하여 서로 연계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신 박사= PBS는 경쟁체제를 도입해
프로젝트
수행에서 연구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다. 미국도 PBS 제도로 움직인다. 다만 한국은 생산성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없는 것이 문제다. 출연연의 연구원에 대한 처우와 직위문제에 대한 개선 역시 중요한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