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2012 바이오 희망나눔 프로그램 “난치병 정복하는 과학자 되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앤드류 파이어 교수와 신희섭 제1호 국가과학자(기초과학
연구
원
연구
단장). 경북 풍산고 3학년인 김정연 학생은 “작년에도 왔는데 유명한 과학자를 직접 볼 수 있는데다 강연 내용도 너무 좋아서 올해 또 왔다”고 말했다.뇌를 주제로 강연한 신희섭 박사는 인기높은 ... ...
과학동아 청소년 정기자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마세요. 하반기에도 기회가 있답니다. 정기자 임명장 수여식은 8월 초, 한국생명공학
연구
원에서 하는 체험 프로그램과 함께 진행됩니다. 자세한 일정은 개별 연락합니다 ... ...
자연은 디자인이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귀한 책이다. 생체모방공학의 역사부터 대표적인 사례, 최근
연구
동향, 그리고 미래
연구
주제까지 빠짐없이 모았다.이 책에서 가장 눈길이 가는 부분은 후반부다. 생체모방 사례를 넘어, 생물을 컴퓨터를 이용해 인공적으로 창조하려던 시도를 다뤘다. 1970년대 영국 철학자 마틴 가드너가 만든 ... ...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누워 있거나 앉아 있을 때의 뇌 활동만을 관찰할 수 있다.2004년 프랑스의 패네티어 박사
연구
팀이 ‘사이언스’에 초전도양자간섭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뇌에서 발생하는 미세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센서를 개발했다고 발표해 전 세계 뇌과학자들을 기대에 부풀게 했다. 이 기술은 아직 ... ...
몸속 구석구석 3D로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보세요.”신 교수는 대학생이나 대학원생들과 참 격의없이 잘 지낸다. 어떤 학생을
연구
실에 받고 싶냐고 물었더니 “당연히 똑똑하고 성실한 학생”이라며 웃었다. “대학원생을 뽑을 때 스펙은 많이 보지 않아요. 학점이 좀 낮아도 열정이 있는 학생이 더 큰 일을 하거든요. 모범생처럼 남들 다 ... ...
GIST 수시 전형 합격생 인터뷰 - 8개월에 걸친 탐구 열정이 비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대해 어떤 철학을 갖고 우리 대학에 지원했는지 쓰시오’를 택했다.“당연히 제가
연구
할 분야는 인류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했는데 이 주제는 많은 생각거리를 만들어 줬죠. GIST 에세이는 자기 소개 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써야 하기 때문에 요령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것 ... ...
범인 잡는 미세증거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국과수
연구
원이 말하다국립과학수사
연구
원(이하 국과수)의 문상옥
연구
원과 김명덕
연구
원을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미세증거물을 이용 해결한 사건 중에 기억에 남는 사건은 무엇인가요?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천안함 사건이에요. 천안함을 건져 올려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 ...
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하틀리2를 근접촬영하는 장면을 사실에 가깝게 그린 상상도. 2011년에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
소 과학자들이 하틀리2에 지구와 성분이 같은 물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바닷물의 혜성기원설을 주장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리를 유혹하는 바다의 비밀들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 ...
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예보하기 위해서다. 이재학 박사는 “태풍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연구
만큼 에디에 대한
연구
도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뉴질랜드 인근 바다에 생성된 ‘에디(Eddy)’를 촬영한 모습.]▼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리를 유혹하는 바다의 비밀들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Part 2. 바닷속 ... ...
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수수께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동해에 해양지각이 먼저 형성됐다는 증거들이 국내
연구
진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그림에서 설명한 여러 분지와 융기된 측면부, 급격히 깊어지는 대륙사면 등이 대륙에서 해양으로 지각의 구조가 바뀌는 전형적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는 게 국내 학자들의 ... ...
이전
1127
1128
1129
1130
1131
1132
1133
1134
1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