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3,15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적 재산의 보호와 공유
과학동아
l
200812
사람이 죽을 수 있다는 점은 심각한 문제다. 특허제도의 핵심은 아이디어를 개발한
특정
인에게 발명품에 대한 독점권을 부여한다는 점이다. 독점은 전체의 이익을 감소시키는 부정적인 요소가 있기 때문에 특허 기간을 20년으로 한정한다. 이번 논제에서는 특허권을 포기한 퀴리 부인의 입장에서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12
각각 3mm인 거울 2개가 들어 있다. 이 망원경은 처음엔 지름 200km의 넓은 영역을 바라보다
특정
위치에서 메가번개가 치면 바로 촬영 영역을 좁혀 이를 자세히 촬영한다.이 망원경을 일과시간 동안 창에 설치해두면 다른 우주인들이 임무를 수행하는데 방해가 되기 때문에 자기 전에 설치했다가 기상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12
일었지만 최근 주춤한 이유도 이런 패러다임 전환이 벽에 부딪쳤기 때문이다. 연구단은
특정
위치에서만 나노막대와 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방법을 개발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결정 성장 방향 제어가 중요“결정이 자라려면 구성원소가 기존 결정이나 물질에 달라붙어야 합니다. 눈 결정이 ... ...
[생물]혈액형 유전자
과학동아
l
200812
때 결합하는 수용체의 유전자가 같은 염색체 상에 존재하고 이들이 연관돼 있다면
특정
혈액형에서 바이러스나 세균이 일으키는 질병 종류가 달라진다. Q 2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혈액은 조직을 순환하며 산소와 양분을 운반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제거한다. 이 과정에서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12
라는 식물 단백질의 결정을 만드는 연구를 시작했다. 1984년 박사과정에 들어가서는 RNA의
특정
부분을 자르는 RNase T1이라는 효소의 유전자를 화학적으로 합성해 대장균에서 발현시키는 연구에 뛰어들었다.“한 2년 열심히 실험하고 있는데 일본 연구진이 같은 주제의 연구결과를 실은 논문을 ... ...
무선전력 송신의 꿈
과학동아
l
200812
따라서 60Hz 가정용 전류를 이용해 두 코일이 공명할 수 있는 자기장을 만들려면 전원을
특정
한 전압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와이트리시티 작동 메커니즘에서 전구 쪽 코일은 패러데이의 법칙에 따라 공급되는 자기장의 변화가 클수록 많은 전류가 흐른다. 전압을 더 공급해 코일의 자기장을 ... ...
올버스 패러독스
과학동아
l
200812
이고 주기 T=dπ/ω이다. ω는 원운동의 각속도에 해당하며 원운동이 이뤄지는 평면에 대해
특정
각도에서 원운동을 보았을 때 운동 상태로 해석된다. Q 1) 구껍질에만 질량이 존재하고 내부는 비어있는 가상의 행성이 존재할 때 행성 내부에 중력이 작용하지 않음을 설명하라. 2) 반지름이 Re인 지구의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11
과일주스가 있기 때문에 우리들은 어느 때나 100% 과일주스를 마실 수 있다. 그런데
특정
시기에 수확한 과일로 1년 내내 먹을 수 있는 주스를 만들어야 하므로 과일을 보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과일 자체를 보관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과즙을 5~6배 농축해 냉동보관한다. 과즙은 보통 90% 이상이 ... ...
차세대 메모리 비밀 밝히는 왕박사
과학동아
l
200811
메모리 PRAM차세대 메모리로 각광받는 PRAM은 상변화물질을 이용한다. 상변화물질은
특정
한 형태를 갖지 않는 비정질 물질이 낮은 온도에서 결정질로 바뀌면서 전기저항이 달라지는 물질을 말한다. 이 저항차를 이용해 0과 1로 이뤄진 비트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를 만들면 전원이 끊어져도 정보가 ... ...
[지구과학]쌍춘년의 주기 계산법
과학동아
l
200811
지반의 경우 지진파는 암반과 지표 사이에서 계속 반사된다. 그러면 지반의 흔들림이
특정
진동수로 증폭되는데 이를 ‘지반증폭’ 현상이라 한다. 건물은 높이에 따라 고유진동수를 갖는데 보통 층수가 높아지면 고유진동수가 작아진다. 지진파의 진동수와 건물의 고유진동수가 비슷하면 건물은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