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율주행의 또 다른 눈│최선욱 네이버랩스 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08호
- HD맵 제작사들은 이동식차량측량시스템(MMS·Mobile Mapping System)을 탑재한 차량으로 도심 곳곳을 이동하며 HD맵을 제작한다. MMS가 취득한 정보를 활용하려면 정보를 수집한 위치가 필수적이다. 그래서 MMS는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GPS 센서를 탑재하고 있는데, 도시는 빌딩 때문에 GPS 신호가 단절되는 음영 ... ...
- 미래 모빌리티 도시 공간구조를 바꾸다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주목을 받았던 역세권 개발에 대한 수요도 떨어지고 오히려 자동차로 접근하기 쉬운 곳에 맛집이나 예쁜 카페가 대거 들어설 가능성이 있다. 이런 현상은 도시 내 토지이용 패턴에 영향을 끼친다. 체증이 심한 도심지보다는 도심 접근성이 좋은 외곽지에 더 많은 주택단지가 들어설 것이다. ... ...
- [인터뷰] “도시 다양성·복잡성 살릴 모빌리티 실험 필요해”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자동차 외에 대안이 별로 없는 시대였다. 서울을 보라. 걷기가 힘들다. 지루하고 쉴 곳도 없고 그늘도 부족하다. 하지만 걷지 않으려면 차를 타는 것 외에 대안이 없다. 자동차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전동킥보드, 자전거, 차폐형 소형 PM 등 다양한 대안이 있다면 달라진다. 상황에 따라 다양한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운석이 아니라 빗방울이 펀치볼을 만들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점차 파괴되고 분해되어 흙으로 변하는 현상을 ‘풍화’라고 불러요. 땅속 깊은 곳에서 만들어진 암석은 높은 압력을 받다가, 지표면에 노출되면 압력이 낮아지면서 갈라진 틈이 생겨요. 틈 사이로 들어간 물이 얼면 얼음의 부피가 커져서 암석이 부서져 작은 돌 더미가 되죠. 이 과정을 ‘물리적 ... ...
- [IBS 수학동아 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알게 된 사립 유치원에 보낼 수밖에 없었다. 이 유치원은 영국의 총리를 배출한 유명한 곳이어서 내가 뉴턴 연구소에서 받는 보수의 을 아이 유치원의 등록금으로 내야 했지만, 아이는 수준 높은 유치원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또 당시에 의료 보험이 없어서 임신한 아내가 몸이 좋지 않아도 ... ...
- 이동의 ‘주체’가 변하다│신희철 한국교통연구원 4차산업혁명교통연구본부장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이용자가 적은 곳은 배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인구가 많은 곳은 더 편리해지고, 교통 소외지역은 소멸지역으로 치달을 수도 있다. 가장 손쉬운 해결책은 보조금을 주는 것이지만, 정답은 아무도 모른다. Q. 새로운 모빌리티 시스템은 인간을 어떻게 바꿔 놓을까?인류는 ... ...
- 기술과 안전, 맹목적 기대 경계해야│심지원 동국대 철학과 교수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전시된 자율주행차 앞엔 레이싱 모델이 서 있었다. 사람이 필요 없는 차를 전시하는 곳에서 레이싱 모델이라니 모순적이었다. 이외에도 안전 테스트를 할 때 여전히 평균 남성의 마네킹을 활용한다거나 AI를 학습시킬 때 백인, 남성 위주의 데이터가 그대로 사용되는 등 새로운 기술에서도 기존 ... ...
- [화보] 꽃과 나무가 전부 이 안에! 현미경으로 본 자생씨앗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식물이 멸종할 경우를 대비해 여러 종류의 씨앗을 보관해요. 시드볼트는 전 세계에 단 두 곳 있답니다. 하나는 노르웨이, 다른 하나는 우리나라에 있지요.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시드볼트에는 약 4700여 종, 9만5000여 점의 씨앗이 보관돼 있어요. ▲ 고화질은 PDF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8화. 숫자 암호가 안내한 곳은? 파헤칭단에게 보물을 뺏길 순 없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몰라요. 급해서 그냥 한 말컥!”딱지가 대답하는 순간 콧구멍이 부풀어 올랐습니다. 그곳에서 풍선 같은 게 빠져나오고 있었습니다. 그건 순식간에 딱지의 헬멧 안을 가득 채웠습니다.“억! 수, 숨이 막” 딱지는 공 때문에 숨이 막혀 켁켁거렸습니다.“살려주”그러다 갑자기 ‘펑-’ 하는 ... ...
- [기획] 최장거리 비행 기록을 갈아치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이틀을 빼놓고 다 나왔죠. 보통 만조 두세 시간 전에 나오는데, 밀물이어서 철새들이 한곳에 모여 있어야 수를 세기 쉽거든요. 그리고 만조가 지나 해가 질 무렵까지 관찰합니다. Q철새에게 갯벌은 정말 중요한 공간이군요?갯벌은 육지와 해양의 경계에 있어 생태적으로 중요한 공간이에요.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