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낯선 생물이 내 터전에 들어왔다...생태계 악당 침입종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총 6종뿐으로 황소개구리를 제외하곤 모두 거북이다. 도마뱀이나 도마뱀붙이, 뱀 등은
눈
에 안 띄어 아직 발견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국내·해외 가리지 않는 침입종 피해국내 생태계교란 생물 중에는 다른 나라 생태계를 위협하는 종도 있다. 뉴트리아, 큰입배스, 황소개구리, ... ...
[기획] 2021년 아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아들?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이용합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격자는 모
눈
종이의 정사각형입니다. 2차원인 모
눈
종이의 위에서는 수직 또는 수평 이동의 조합을 통해 어떤 지점으로도 갈 수 있지요. 그럼 2차원 이상에서의 격자라면 어떨까요? 한 점에서 다른 점으로 가는 경로의 가짓수가 더 많아져 효율적인 경로를 찾기 ... ...
제23회 전국학생 통계활용대회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명의통계 히어로 친구들은 수많은 정보 속에서 중요한 데이터를 골라냈습니다. 그리고 한
눈
에 이해할 수 있도록 포스터로 정리해 ‘지구온난화를 막아야 하는 이유’를 효과적으로 전달했죠. 이처럼 통계 자료에 근거한 포스터는 많은 사람들에게 정보를 잘 전달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습니다. ... ...
[그래프 뉴스]기후 변화로 3070만 명이 집을 잃었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변화를 보여줄 때 유용해요. 선이 꺾이는 모양을 살펴보면 수가 줄거나 늘어나는 게 한
눈
에 보이거든요. 2017년에서 2020년 사이에 선이 가파르게 올라간 것은 그 기간에 집을 잃고 떠난 사람의 수가 빠르게 늘어났음을 뜻해요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적절히 반사되는 트레이싱 종이로 사방을 막고 빛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그의 예민한
눈
은 푸른색과 녹색 그 사이 어디쯤에 있는 비색을 그대로 렌즈에 담아냈다.한 시대를 대표하는 실내 유물 사진작가인 그는 석굴암을 세 번에 걸쳐 촬영한 석굴암 사진의 대가이기도 했다. 그가 처음 석굴암과 ... ...
[매스미디어] 샤이니의 숨은 노래로 본 슈퍼문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이심률 e는 로 쓸 수 있다. 다시 말해 타원의 중심에서 초점까지의 거리를 장반경으로 나
눈
값이다.따라서 찌그러지지 않은 원은 중심에서 초점까지의 거리가 0이므로 이심률이 0이다. 반면 장반경이 같을때 중심에서 초점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이심률의 값은 커지고 타원은 더 찌그러진다. 중심에서 ... ...
[긱블x과학동아] 패턴 따라 다른 소리 나는 '바코드 연주기'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커서 깔끔하게 납땜이 됐습니다. 신호가 발생한 지점을 납땜할 차례인데, 민바크 님
눈
동자가 흔들립니다. 크기도 매우 작을뿐더러, 그 주변으로 다른 납땜 지점들이 촘촘히 박혀있습니다. 까딱하면 여러 지점을 납땜으로 덮어서 합선될 수 있습니다. 매우 민감한 작업이라는 걸 여러 번 강조합니다.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이제는 구름도 DIY! 헬륨 비누 거품 구름 생성 장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약 654만 원이라는 사실에 정신이 번뜩 들었습니다. 역시 직접 만들어야 의미가 있죠! (
눈
물)플로고스의 작동 원리는 간단합니다. 플로고스에 비눗물을 붓고 헬륨 가스를 주입하면 속에 헬륨이 들어있는 비누 거품이 생깁니다. 이 위에 스텐실 판을 올려놓으면 원하는 모양의 비누 거품이 몽글몽글 ... ...
한
눈
에 보는 교과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거북이 등껍질처럼 불규칙하게 벗겨지거든요!”캠퍼스 곳곳에서 나무의 이름을 찾고, 꽃
눈
을 구경하다 보니 시간가는 줄 몰랐어요. 소지현 연구원은 이렇게 식물을 관찰하다 그 매력에 빠져, 10년 넘게 식물을 연구하게 되었다고 설명했어요.“저는 식물을 관찰하고 분류하는 식물분류학자예요.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