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면
밑
밑바닥
땅
마루
최저
밑면
d라이브러리
"
바닥
"(으)로 총 2,34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합성생물, 차세대 게놈 클럽 주인공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캡슐 속에 넣어 휴대할 수 있게 만들었다. 개발도상국의 열악한 환경에서 사는 사람들은
바닥
에 고인 물이 중금속에 오염된 줄 모르고 그냥 먹는 경우가 많은데 이 캡슐을 물에 풀면 물속에 중금속이 포함돼 있는지 측정할 수 있다. 우리가 직접 만든 합성생물이 여러 사람을 구할 수 있다니 얼마나 ... ...
PART 2. 진동은 피곤해!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높이기 위해 시트에 에어스프링을 장착하는 경우가 많다. 스프링의 강성을 낮춰
바닥
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잘 흡수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에어스프링은 차량이 빠르게 주행할 때만 효과가 있다. 과속방지턱을 넘기 위해 속도를 낮추면 요철 위에서 오히려 차 전체가 ‘꿀렁’거리는 느낌을 더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바꾸거나 진동저감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태보가 진동의 원인이라면 헬스장
바닥
에 완충제를 설치해 발을 구를 때 생기는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다. 철골구조 건물은 가벼워서 건물 내부의 기계 때문에도 미세진동이 생길 수 있다. 어떤 부분과 공진해 사용상 문제가 생기면 진동패드와 같은 ... ...
수학 예술가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디자인우리는 매일 길을 걸으면서 수학으로 만든 디자인을 만난다. 같은 도형을 반복해
바닥
을 빈틈없이 채우고 있는 보도블록은 도형을 이용한 디자인의 대표적인 예다.도형의 모양을 살펴보면 간단한 사각형부터 곡선으로 이뤄진 모양까지 그 종류도 다양하다. 모양이 복잡할수록 빈틈없이 ... ...
수학·과학의 나눔터 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재활용품과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한 결과 산과 바다가 푸르고 깨끗하게 된 모습이
바닥
에 그려졌다. 학생들의 생각은 세밀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았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작품 속에 나타난 친환경도시 울산의 꿈은 하루하루 앞당겨지고 있다. 미니 인터뷰 영재에게 나눔을 가르친다안녕하세요. ... ...
내셔널 트레져, 보물 사냥꾼의 운명을 좌우하는 암호 어떻게 푸나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결국 보물의 위치에 대한 결정적인 단서를 얻게 됐고, 도심 한가운데 있던 성당 지하의
바닥
에서 어마어마한 보물을 만나게 된다. 함께 풀어보는 오텐도프 암호다음은 수학동아 7월호 83쪽 xnote의 일부다. 이 본문에 숨겨진 암호는 무엇일까? 감동 있는 영화 ‘글러브’영화 ‘글러브(Glove)’의 ... ...
Intro. 녹색 황금 캐는 미세조류 농장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없이 풍족한 삶을 선사했다. 그러나 언제까지나 펑펑 쓸 줄 알았던 ‘검은 황금’ 석유가
바닥
을 드러내면서 유가 100달러 시대를 담담히 받아들이고 있다. 어차피 석유는 온실가스 배출과 지구온난화의 주역이라 퇴출될 운명이라고 스스로 위로하면서. 물론 인류가 석유 이후의 삶을 손 놓고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개발됐다. 이들이 앞으로 우주시대를 맞는 인류의 주식이 될지도 모른다. 또 석유가
바닥
이 나더라도 자동차를 움직이게 해줄 것이다. 작지만 대단한 힘을 가진 작은 거인, 물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있는 유비쿼터스 생물, 이들이 바로 미세조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녹색 황금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다. 구준호 박사는 “제주 바다의 60%를 돌산호가 차지하고 있다”며 “바다
바닥
에 들러붙어 빠르게 번식해 해조류가 살 공간을 빼앗아버렸다”고 말했다. 제주에서만 살던 해조류인 감태도 점점 사라지고 있다. 기존에 살고 있던 동물들이 살 곳과 먹을거리를 잃어버리는 것이다.또 돌산호는 ... ...
PART 1 우사인 볼트보다 더 빨리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바닥
입니다. 트랙이 깔린 경기장에서는 발이
바닥
을 미는 힘이 미끄럼 없이 그대로
바닥
까지 전해져요. 1968년 멕시코올림픽에서 선보인 우레탄 트랙은 오랫동안 달리기 기록을 줄이는 데 큰 영향을 끼쳤어요. 탄성이 있고 충격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중·장거리 경기에도 적합했죠. 대구스타디움에는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