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
휘장
다리
칸막이
병풍
커튼
BAL
d라이브러리
"
발
"(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순간 포착! 동물생애 최고의 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알래스카와 열대지방에서 살아요.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지요. 혹시 진짜 벌새를
발
견한 친구들은 ‘어린이과학동아’로 연락 주세요~! 이젠 날아야 할 시간합다리나무 잎에 달린 조그만 번데기에서 푸른큰수리팔랑나비가 나와 날개를 펴고 있어요. 푸른큰수리팔랑나비는 전체적으로 푸른빛을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평행을 이루고 있어야 합니다(우리가 그런
발
가락을 갖고 있습니다). 라미두스의
발
가락은 이종이 걸었을 뿐 아니라 나무도 탔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20세기 후반에 정설로 인정받던, ‘최초의 인류는 직립보행을 했다’는 가설이 위태로워진 것입니다.주변 생태를 연관지어 보면 문제가 더 ... ...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방독면을 뚫고 순식간에 목을 죄는 듯 호흡곤란을 일으킨다고 한다. 각국은 이에
발
빠르게 해독제 연구에 착수했다. 더 강한 화학무기를 만들고 그 화학무기를 무력화시키는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자연의 잔혹한 미소 - 독의 화학Part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받은 그는 박사후과정으로 아이오와대를 택했고 아내와 아이와 함께 낯선 이국땅에
발
을 디딘 것. 처음엔 말도 통하지 않고 막막했지만 하루 이틀 지내다보니 적응이 됐다.그가 일하게 된 실험실의 책임자인 아이오와대 생명과학과 드바시시 바타차리아 교수는 인도계 캐나다인으로 당시 대학에 ... ...
스펀지 MATH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형성되기 시작한 고대부터 지금까지 우리 곁에서 두
발
이 되어 준 바퀴의 새로운 모습을
발
견했나요? 늘 둥글다고만 생각했던 바퀴 속에서 찾은 놀라운 지식이 빛나는 시간이었길 바랍니다.오늘은 특별히 물폭탄 벌칙 대신에, ‘□문제’에 별 점수를 매기는 분에게 선물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
짝짓기가 낳은 ‘아버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습니다. 오웬 러브조이 미국 켄트대 사회학및인류학과 교수가 1981년 ‘사이언스’에
발
표해 사회적 파장을 불러일으킨 학설입니다.인류학자들은 러브조이 학설이 맞는지 검증해 보고 싶어했습니다. 러브조이 학설이 맞다면 초기 인류가 직립 보행의 흔적을 보여야 합니다.그리고 수컷끼리의 ... ...
Part5. 이사하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고 위에는 욕심이, 장에는 불안이 있고, 허파에는 농담이 있고, 손에는 잔재주가 있고
발
에는 굳은살이 있죠.내장도 기억을 하고 근육도 기억을 해요. 그게 전부 자기예요. 다 없어지면 자기가 아닌 거고.”“그럼 팔이 하나 잘린 사람은?”청년은 입을 다물었다.“다리 하나를 잃으면 다른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사람은 다른 동물에 비해
발
바닥 패드가 얇다. 그래서 밑창이 얇은 신
발
을 신거나 맨
발
로는 오래 걷기가 힘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쿠션 테크놀로지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Part2. 마법의 양탄자, 차세대 도시의 공통점은 ... ...
Part3. 별 걸 다 맡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분리하고 있다. 성공한다면 지문이나 홍채보다 훨씬 정확한 신원확인 보안시스템을 개
발
할 수 있다. 또 냄새의 성분을 더 구체화할 수 있다면 냄새만으로 어떤 병에 걸렸는지도 알아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더러운 연구Part1. 이 걸 먹는다고?Part2. ... ...
[정보] 수학으로 지키는 우리 문화재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수 있어. 시뮬레이션 모델을 활용하면 흰개미가 목조문화재에 피해를 입히기 전에 한
발
앞서 막을 수 있거든. 또 땅 속 흰개미 굴의 모양을 예상해 효율적인 방역작업을 할 수 있다고. 어이, 흰개미! 지금 떨고 있나? 문화재를 지키는 수학의 힘!흰개미를 실제로 본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아무것도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