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방
저지
방비
방해
금지
막기
방역
d라이브러리
"
방지
"(으)로 총 1,558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루토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상자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HEPA 필터를 거쳐서 배기되므로 플루토늄 에어로졸의 유출을
방지
할 수 있다. 아카쓰키호 플루토늄 해상수송의 의미엄청난 핵잠재력에 첨단 마이크로전자기술을 결합한다면 일본은 단시일 내에 핵강대국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프랑스에서 재처리한 플루토늄 ... ...
AIDS 백신과 치료제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약제를 사용할 때 흔히 경험하는 약제내성의 출현과 치료 실패, 그리고 심한 독성을
방지
하기 위해 AIDS치료시 병합요법을 적극 시도하고 있다. 병합요법의 이점으로는 항바이러스효과의 증강, 저용량의 사용으로 인한 독성 감소, 약제 내성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예방 등이 있다. 현재 많은 종류의 ... ...
3. 디스크 관리 프로그램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수가 있다. 이 때 디스크 복구 유틸리티를 활용하면 허망하게 자료를 날리는 불행을
방지
할 수 있는데…요즘 사용되는 개인용 컴퓨터에는 대부분 고용량의 하드디스크가 장착되어 있다.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면 소프트웨어를 빠른 속도로 실행시킬 수 있고 디스켓을 갈아끼우는 번거로움 없이 ... ...
디스크를 잘 관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컴퓨터 메모리에 들어있는 내용은 전원을 내리는 순간 감쪽같이 사라져 버리므로 어떤 자료를 영구히 보존하기 위해서는 디스크(disk)라는 장치 ... 백신프로그램, 그리고 하드디스크의 이상을 진단하는 진단프로그램 등을 넣어둔 후 쓰기
방지
탭을 붙여서 보관해둔다면 요긴하게 쓸 수 있다 ... ...
코뿔소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5종의 코뿔소들이 모두 국제자연보존연맹 적색자료목록에 포함됐다. 이들이 이렇게 절종위기를 맞게 된 이유는?코뿔소는 코끼리 버금가는 ... 또 분포권이 좁아지고 있어 범세계적인 보호대책의 수립이 요망된다. 이들의 절종을
방지
하기 위한 우리 모두의 지혜를 모을 때가 바로 지금이다 ... ...
1 토양형성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재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토양을 덮고 있는 식생은 토양의 침식을
방지
하고 수분함량을 높여, 토양발달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토양의 특성을 결정하는 또 다른 요인으로는 지형을 들 수 있다. 경사가 급한 지점에서는 토양이 얇고 토양층의 발달이 불량하지만, 평탄한 곳에서는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발생을 최대로 줄임으로써 높은 생산성의 보장은 물론 환경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현대산업이 추구하는 가장 이상적인 산업형태인 것이다.의약품제조에 활용돼이렇게 완전무결한 생체촉매가 자연에 산재하는 데 왜 이제까지 다양하게 활용되지 않았을까. 효소활용시에는 ... ...
새 생명의 요람, 겨울눈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칠엽수같은 나무는 겨울눈에다 끈끈한 부동액(不凍液)같은 것을 발라놓아 어는 것을
방지
하기도 하고 붉나무 같은 종류는 겨울눈에 솜같은 보드란 털로 두껍게 덥어서 보호하기도 한다.가래나무의 엽흔은 꼭 죽은 말머리 같이 우습게 생겨서 언손을 호호 불어가며 사진을 찍고 있는 우리들에게 ... ...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과다할 경우 고속도로 본선은 심한 정체현상이 야기된다. 이러한 혼잡현상을 사전에
방지
하기 위해 진입부의 교통량을 본선의 교통흐름이 최적의 상태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진입부에 신호기를 설치하여 적절한 양의 차량이 진입하도록 통제한다.진입부 통제는 교통신호제어시스템이 고속도로에 ... ...
3 작물개량과 육종의 첨병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오갈병(바이러스질병의 일종)을 퇴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충해를
방지
하기 위해 미생물과 식물에서 살충성 유전자와 단백질 소화효소 억제유전자를 뽑아내어 작물체에 전환시키는데 성공했다. 지금은 각종 해충이 이 유전자 전환식물을 먹고 잘 죽는지를 검정하고 있는 단계다.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