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35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서양 조화 담긴 조선후기 천문시계 '혼천시계' 복원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셈이다.
크기
도 더 작아졌다. 윤 과장은 "홍대용의 혼천시계는 송이영 작품의 3분의 1
크기
로 훨씬 정교해졌다"며 "시계는 작아질수록 더 발전된 형태라고 평가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동·서양 문화가 접목된 혼천시계의 역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한다. 혼천시계에 관한 책을 집필하기도 한 ... ...
[우주탐사 시대 활짝] 우주궤도 설계·관제·심우주 통신...'다누리' 기술력 증명
2022.12.28
수 있다"며 "크게는 탐사목적, 나중에는 달 기지에 로버를 내려서 운영하려면 입자의
크기
를 알려면 그 지역에 딱 맞는 임무설계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145일 전 지구를 떠난 다누리호가 달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며 “한국이 전 세계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채 버티고 있는데 잎의 수액에 이온과 당분 등 용질의 농도가 높아 어는점 내림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물은 특이하게도 얼면 부피가 늘어나 생명체에게는 치명적이다. 용매에 용질이 섞여 있을 때 어는점이 내려가는 현상은 엔트로피로 설명된다. 계의 무질서도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는 ... ...
종이접기 하듯 DNA 접어 버섯·클로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작은 3차원 구조물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애리조나주립대 제공 머리카락의 10만 분의 1
크기
의 DNA 가닥을 접어 버섯·클로버 등 다양한 구조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약물전달체나 태양전지 소재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미국 듀크대와 애리조나주립대 등 공동연구팀은 마치 ... ...
고체전해질 입자
크기
1/10로 만드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입자
크기
가 작아진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용매 치환으로 고체전해질 입자
크기
가 8㎛에서 0.8㎛ 수준으로 작아지더라도 이온 전도도를 85%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극성 용매의 주입 속도와 노즐
크기
, 무극성 용매의 온도 및 혼합 속도 등 공정 조건을 조절하면서 ... ...
[주말N수학] 선택 공리가 만드는 역설 2
수학동아
l
2022.12.24
순서 ‘ →b’ 도 가능합니다. 0부터 절댓값의
크기
순으로 하나씩 나열하는데, 절댓값의
크기
가 같으면 양수가 음수 앞에 오도록 정렬한 겁니다. 수학동아 DB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점이 있습니다. 순서 →a의 경우 어떤 부분 집합은 순서가 가장 빠른 원소인 최소 원소를 가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 ...
'화성 지질학자' NASA 인사이트 4년간 임무 끝내고 은퇴
동아사이언스
l
2022.12.23
보내온 지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 화성에 운석이 충돌해 규모 4 지진과 150m
크기
의 충돌구가 생겼다는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지진은 화성과 지각의 맨틀, 핵의 특성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정보다. 올해 9월 인사이트가 화성에 운석이 충돌하면서 발생한 4건의 지진파 분석 결과를 ... ...
탄소배출 줄이고 더 푸르게...크리스마스 트리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2.23
나무를 사용하면 탄소 배출량이 더 많아진다고 분석한다. 과학자들의 분석에 따르면 1~2m
크기
의 트리 나무로 자라는 데 보통 10년이 걸리는데 이 과정에서 나무 한그루당 약 18kg의 탄소를 흡수한다. 반면 대부분 중국에서 제조되는 인공 트리 나무는 전 세계로 운송되는 과정에서 상당량의 탄소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도 유발하는 '바이러스' 유래는 '독성물질'
2022.12.20
세균에도 침입하여 들어가곤 한다. 바이러스는 여과지 구멍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크기
가 작고,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지 않으면 볼 수가 없다. 전자현미경은 1930년대가 되어서야 발견되었으니 19세기 학자들이 바이러스를 보지 못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14세기 후반에 라틴어로 독성을 지니고 ... ...
달 표면을 제 집처럼...3년 내 로버 12대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9
라시드의 임무는 달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달 지형을 분석하고 달 먼지의
크기
와 구성 성분을 현미경 관찰 수준으로 연구한다. 영하 173도까지 기온이 떨어지는 달의 밤을 견디기 위한 기술 검증도 진행한다. 이 기술은 향후 화성 탐사에도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형태와 성능 바꾸며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