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스페셜
"
눈
"(으)로 총 1,335건 검색되었습니다.
[MATH] 시간 기록은 어떻게 할까?
KISTI
l
2015.02.09
이 12개의 큰 새김
눈
은 360일로 거의 1년에 가까웠다. 이렇게 해서 봄에 시작된 큰 새김
눈
12개가 새겨지면 다시 봄이 됐는데, 이것이 처음 사용된 달력이었다. KISTI 과학향기 제공 ■ 윤년(閏年)의 탄생 태양과 달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달력에서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30일을 한 달로 하는 것이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자유를 찾는 안드로이드 에이바(사진)가 나온다. 남성들 대다수는 에이바의 애처로운
눈
빛에 서로 돕겠다고 나서지 않을까. - UPI 코리아 제공 칼렙은 필과 비슷한 캐릭터인데 네이든과 에이바는 데이브나 헬렌과는 달리 무서운 인간과 안드로이드다. 특히 깜찍한 미모의 알리시아 비칸데르가 칼렙을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
2015.01.20
누구나 선글라스만 쓰면 앞을 볼 수 있는 세상이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한국형 인공
눈
기술이 ‘시각장애인 없는 세상’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도움말: 서종모 서울대병원 안과 교수, callme@snu.ac.kr)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5.01.20
토종 바이오닉 기술을 총 4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글 싣는 순서 ①인공청력 ②인공
눈
③인공 팔다리 ④뇌-기계 연결기술 인공와우 시스템의 원리 - 서울대 제공 김성준 서울대 교수 소리를 듣는다는 건 매우 경이로운 작업이다. 사람이 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몇 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 ...
웨어러블 컴퓨터의 핵심기술, 늘어나는 소자 늘어나야 입는다
IBS
l
2015.01.16
어떻게든 영향을 줄 수밖에 없고, 휴대성이나 사용 편의성을 고려한다면 최대한 작고
눈
에 덜 띄는 방향으로 개발해야 하기 때문이다. 데이터센터에 고이 모셔두는 서버용 컴퓨터보다 소비자들이 몸에 항상 지니고 다니는 스마트폰에서 디자인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과 같은 이유다. 진정한 ... ...
분자 동영상 촬영해 물질의 3차원 구조 밝힌다
IBS
l
2015.01.16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끼리를 본다고 할 때 왼쪽, 앞쪽, 위쪽에서 관찰하는 경우
눈
에 보이는 형태가 다르잖아요. 이전에 1차원 분광학은 코끼리를 관찰하는 데 오로지 한쪽 측면에서만 했다고 할 수 있어요.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도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로 다차원 분광학입니다." 다차원 ... ...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
KOITA
l
2015.01.14
몇 년이 걸리는 경우도 허다하다. 사람들은 왜 그 큰 비행기를 찾지 못하는 걸까. ●
눈
깜작하면 수 km 비행… 위치확인 오차 커 역사적으로 비행기 추락사고는 드물지 않게 일어났다. 가장 유명한 것은 ‘버뮤다 삼각지대’라고 불리는 카리브해 지역에서 일어난 잇따른 비행기 실종 사고다. ... ...
환경과 지역 함께 살리는 아이디어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주변에서 아이디어를 발굴해 도시 환경에서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려 시도했다는 점이
눈
에 띄었다. 우수상을 수상한 동국대학교 조예진 씨의 출품작이 대표적인 사례다. 조예진 씨는 자연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어렵고 폐기물 처리에 제약이 많은 도시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에너지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대한 비판적 문헌으로 소개한 참고문헌을 보니 2006년 출간된 ‘Not Even Wrong’이라는 책이
눈
에 띈다. 물리학을 공부하다 수학으로 전향한 피터 보이트라는 사람이 쓴 책으로 알고 보니 2008년 ‘초끈이론의 진실’이라는 제목으로 국내에도 번역됐다. 필자의 해석이 맞다면 원서 제목이 너무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생긴 이래 계속 지구상에 존재해왔다는 것이다. 지구상에 계속 있으면서도 X선은 사람의
눈
으로 볼 수도 없고 냄새도 안 나며 맛도 없는 즉 사람의 오감으로 감지할 수 없다는 특성 때문에 뢴트겐이 발견할 때까지 사람들이 몰랐다는 것이다. 사실 X선은 뢴트겐보다 크룩스가 먼저 발견할 수 있는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