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스페셜
"
몸
"(으)로 총 1,342건 검색되었습니다.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표면에 있는 효모가 향기성분을 만들어 과일을 더 향기롭게 함으로써 찾아온 초파리
몸
에 묻어 새로운 서식처를 찾아가는 것이다. 실제로 과일을 찾은 초파리를 잡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다리나 더듬이에 효모가 붙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인류는 발효과정에서 에탄올을 잘 만들고 향기를 ... ...
[COOKING의 과학] 국민 음식 닭고기로 여름나기
KISTI
l
2015.08.04
먹는 것은 삶의 가장 기본적인 일이죠. 모두가 어려웠던 옛날에는 무조건 많이 먹는 것이 우선이었지만, 요즘 트렌드는 맛있는 음식을 건강하 ...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니 뜨거운 여름철 보양식의 진정한 강자는 다름 아닌 각자의
몸
상태에 따라 적절한 보양식을 선택하는 것이리라.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따라서 림프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경우 세포 사이에 유체(액)가 넘쳐나면서
몸
이 붓게 된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런 림프계가 뇌에는 분포하고 있지 않다는 것. 따라서 림프계가 없는 뇌에서 왜 탈이 생기지 않는지는 오래된 미스터리였다. 지난 2013년 10월 18일자 학술지 ‘사이언스’에 이 ... ...
가짜 배고픔에 지는 당신, 참아라!
KISTI
l
2015.07.21
식단을 유지한 실험군에 비해 식욕 억제 효과가 두드러지게 높았다. 체중 조절이 날씬한
몸
매를 뽐내고자 할 때도 필요하지만 건강한 삶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비만은 만성질환의 위험 인자로 꼽히는 만큼 이번 기회를 통해 가짜 배고픔에 조금은 단호하게 대처해 보는 건 어떨까. 효과적인 ... ...
[LIGHT] 꿀잠을 위한 간단 팁, 깜깜하게 자라!
KISTI
l
2015.07.14
않으면 갈색지방을 활성화시키는 아이리신 호르몬이 제대로 분비되지 못하고, 우리
몸
속의 갈색지방은 점점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호르몬의 문제로 건강이 나빠지고 비만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소를 잃고 외양간을 고친다 한들 잃어버린 소는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소를 잃지 않도록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생장을 촉진하는데 역할을 했을 것이다. 한편 장내유익균이 장내 공간을 미리 선점해
몸
에 해로운 균이 들어왔을 때 공동방어에 나서는 것처럼 식물내생생물도 감염으로부터 식물체를 지킨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화합물을 만들어내는데 그 가운데 몇몇은 의약품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 ...
버려지는 에너지를 모으는 에너지 하베스팅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7.07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무엇보다 기대되는 분야는 의료다. 전문가들은 나노발전기가
몸
속에서 혈류, 혈압, 혈당을 측정하는 나노센서 같은 나노장치에 결합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예를 들어 혈액이 흐를 때 생기는 난류에 따라 흔들리는 나노발전기가 전기를 만들면 나노센서는 각종 정보를 측정해 ... ...
건강식품 맹신이 불러온 백수오 논란
KISTI
l
2015.06.30
자체의 특징 때문에 위약 효과가 더욱 크다는 의견도 있다. 갱년기 증상은 기본적으로
몸
에 문제가 있기 보다는 여성호르몬 수치의 변화 과정에서 생기는 자연스런 현상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완화되는 것을 약의 효과로 착각하기 쉽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4월 기준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성숙한 조절T세포들은 혈관을 타고 온
몸
으로 퍼져 과도한 염증반응을 억제한다. 최근 아토피 같은 면역계 과민 질환을 타깃으로 한 프로바이오틱스 의약품이 나와 있는 것도 이런 경로를 통해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메르스 퇴원자의 분변을 채취해 ... ...
손목에 차고만 있어도 전기가 생긴다?
KISTI
l
2015.06.09
더 중요한 것은 바로 배터리다. 지금도 스마트폰 배터리의 수명 문제는 난제다. 항시
몸
에 착용해야 하는 웨어러블 기기는 두말할 것도 없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연구진이 체온을 이용해 전기를 충전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 유네스코가 선정한 ‘세상을 바꿀 10대 기술’ 영예의 그랑프리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