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검은 돌을 반짝이는 돌로 인조다이아몬드 만들기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포함한 킴벌리용암이 다시 지표면으로 급속히 올라와 흑연화되기 전에 냉각응고된것이
바로
우리가 캐내는 다이아몬드다. P형 반도체의 특성을 가진 것도천연 또는 인조다이아몬드는 그 합성되는 과정에서 탄소와 질소 그리고 보론을 미량 함유하게 된다. 이 미량원소의 함유정도에 따라 Ⅰa,Ⅰb, ... ...
과학실력 테스트에서 최하위 그룹 한국학생, 과학은 좋아하되 과학과목은 싫어해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중학교에서 10점이 낮게 평가된 것이다. 이렇게 우리 학생들의 과학학력이 낮은 것은
바로
과학적사고력과 과학탐구능력이 저조함과 상관이 있다. 또 한국의 과학교육에 커다란 문제점이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한다.과학학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문화적 배경 등 여러 요소를 들 수 ... ...
겨울여왕이 펼치는 동화의 세계 얼음꽃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면 공기속의 수증기가 액체상태를 거치지 않고
바로
얼음이 된다. 이 얼음이 풀꽃이나 거미집 등에 생기면 섬세하고 아름다운 얼음꽃이 된다. 정밀사진으로 포착한 그 아름다움…. 자연이 밤의 장막에서 막 벗어나려 할때 나는 오두막의 문을 열고 최초의 아침 빛을 얼굴에 ... ...
1년중 관찰에 가장 적합 겨울밤의 별자리 보기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Taurus)오리온자리의 서북쪽에 자리하면서 1등성 '알데바란'을 중심으로 한 별의 무리가
바로
황소자리이다.'알데바란'은 황소의 눈에 해당하고, 2등성인 β별과 3등성인 ζ별은 '황소'의 두개의 뿔 끝에 위치한다. 또 이 별자리에는 두 개의 성단이 있다. 하나는 '플레이아데스성단(우리나라에서는 ... ...
코끼리 코가 생존에 가장 중요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굽어진 어금니를 갖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지상의 최대 거수(巨獸)코끼리는
바로
이 매머드의 후손.코끼리는 아프리카 중부일대에서 서식하는 '아프리카 코끼리'(학명은 Loxodonta africanus)와 인도를 비롯하여 동남아시아에 사는 '아시아 코끼리'(학명은 Elephas maximus)의 2종류가 있다. 아프리카 ... ...
국민 10명중 1명 꼴 황달없는 간염이 더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이 시기 즉 바이러스가 간에 지하당을 조직하고 증식하는 시기가
바로
잠복기이다. A형은 보통 한달, B형은 석달정도이고 이 시기에는 전혀 증상이 없다.전구기는 첫번째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이다. 이 때에는 감기나 몸살같은 증상으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대다수 ... ...
금연하면 뚱뚱해지나?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늘고 있다. 여기에는 담배에 관한 잘못된 지식이 촉매역할을 한다. 따라서 흡연의 해독을
바로
아는 것은 수명을 7~8년 연장시키는 지름길이 된다. 아래 제시된 문제를 15문제 이상 맞추고 실천하면 수명 + α를 얻을 것이다. O X로 답할 것. 퀴즈1. 건강에 그다지 해롭지 않은 다소 '안전한' 담배도 있다. ... ...
PARTⅠ 개념과 실체 미래 첨단산업의 기초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변화시키면 새로운 현상이 일어나고 새로운 물질이 탄생하게 된다. 미래의 첨단과학은
바로
이러한 조건에서 돌파구를 찾게될 것이다.과학의 발달로 현대인들은 자연에서 취득해야만 했던 특수소재를 인공적으로 만들고 있으며, 신물질개발을 위해 끊임없는 도전을 계속하고 있다. 인공적으로 ... ...
매킨리 산, 산악인을 매혹시키는 야성미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이름만큼이나 금세기초의 미국인들에게 자주 불리운 이름이었다.매킨리산이라는 명칭은
바로
미국의 25대 대통령 '윌리암 매킨리'(1843~1901)에서 유래한다. 매킨리대통령은 '허스트'계 신문의 선동에 휩쓸려 스페인전쟁을 일으킨 것으로 유명한 사람. 필리핀과 푸에리토 리코를 스페인에서 빼앗아 ... ...
아르메니아의 대참사를 계기로 다시 알아본다 지진은 왜, 어떻게 발생하나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리히터'(Richter)에 의하여 최초로 제안되었다. 보통 우리가 신문에서 보는 리히터 강도는
바로
리히터 규모를 말한다. 지진의 에너지와 규모와의 사이에는 대략 다음의 관계가 성립된다.logE=12.24+1.44M위의 식에서 E는 erg단위의 에너지이고 M은 규모를 표시한다. 따라서 규모의 단위가 1 증가할 때 ... ...
이전
1136
1137
1138
1139
1140
1141
1142
1143
1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