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뉴스
"
정도
"(으)로 총 13,530건 검색되었습니다.
곡물과 석유가 드나드는 미시시피 강
2015.08.16
칸이 엮여 다니니 한 번에 10만 t이 넘는 양을 실어 나르는 셈이다. 철로는 한 번에 1만 t
정도
를 실어 나른다고 하니 미시시피강을 이용하는 것이 한 번에 많은 양을 나를 수 있는 효율적인 수단인 셈이다. 배가 5층 높이만 한 거대한 시설 앞에 멈췄다. 실제로 곡물을 끌어올린다는 의미의 ... ...
리처드 도킨스의 첫 자서전
2015.08.16
잘 알고 있는 사람들조차도 제대로 수행하기 까다롭다. 많은 과학자들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
로 통계분석에서 실수를 많이 범한다. 이 책은 현대과학에서 발생하는 통계학적 실수들에 대한 소개서다. 연구를 진행할 때 통계적 실수를 범하고 싶지 않은 연구자들에게 추천한다. 독자들은 이 책을 ... ...
출동! 일일 과학수사관, 돈을 훔쳐간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14
점을 찍었어요. 그리고 종이 끝부분만 살짝 물에 담근 뒤, 서서히 종이를 적셨지요. 10분
정도
지나자 점 모양이던 검은색 잉크가 물을 따라 종이 위로 번져 올라갔어요. 이때 잉크가 번져서 생긴 띠의 색은 모두 달랐어요. 특히 맨 윗부분색은 각각 분홍색, 파란색, 노란색이었어요. 이처럼 띠의 ... ...
이런 CCTV 보셨나요?
2015.08.14
인식하기 위해서는 최소 90픽셀로 촬영해야 한다. 기존 CCTV는 7.2m 안에서 촬영해야 이
정도
해상도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고해상도 카메라를 달아 해상도를 높일 수 있지만 안개가 끼거나 어두운 밤에는 여전히 또렷한 영상을 얻기가 어렵다. 김수언 선임연구원은 고성능 카메라에 들어 있는 줌 ... ...
그래핀 따윈 버려! ‘포스포린 반도체’ 나왔다
2015.08.14
몇 층을 떼어 내면 머리카락 굵기의 10만 분의 1 수준인 0.5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정도
의 ‘포스포린’이 된다. 김근수 포스텍 교수(왼쪽)와 논문 1저자인 김지민 포스텍 연구원. - 포스텍 제공 김근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팀과 최형준, 이연진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공동으로 ... ...
해저 6000m 누빌 韓 두 번째 심해 무인 로봇
2015.08.14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최근 부쩍 바빠졌다. ‘크랩스터’는 원래 수심 200m
정도
에서 6개의 다리를 이용해 바다 밑바닥에서 움직이는 로봇이자 잠수정이다. 전 연구원은 크랩스터가 수심 6000m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심해 탐사용으로 개조 중이다. 크랩스터 6000이 완성되면 우리나라는 두 ... ...
드론 보고 놀란 곰 가슴, 200분 동안 벌렁벌렁
2015.08.14
있던 어미 곰의 경우 120회 이상 늘었다. 한번 빨라진 심장박동이 진정되는 데는 평균 10분
정도
가 소요됐지만 최대 200여 분 동안 진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디트머 박사는 “동물이 무인정찰기를 보고 도망치지 않고 차분한 모습을 보인다고 해도 실제로는 굉장히 긴장한 상태라는 사실을 처음 ... ...
니코틴 중독 만드는 건 ‘마이크로RNA’
2015.08.12
시각을 바꿔 마이크로RNA에 주목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이 부위에서 유전자 발현
정도
를 바꾸는 여러 마이크로RNA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베뉼라에 있는 여러 마이크로RNA가 니코틴 중독을 일으키도록 니코틴 중독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는 것이다. 임 연구원은 “이번 연구로 ... ...
이별 후 상처, 여성이 더 크지만 회복도 빨라
2015.08.12
제공 사랑하던 사람과 헤어지면 한동안 다른 일이 손에 잡히지 않을
정도
로 후유증에 빠진다. 미국 연구진이 이런 ‘이별 후유증’이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강하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미국 빙햄턴대 크레이그 모리스 연구원 팀은 영국 런던대와 공동으로 이별 후에 나타나는 ... ...
충전속도 100배 빠른 이차전지 나온다
2015.08.12
기대하고 있다. 100회 이상 충·방전을 반복했을 때 전지용량의 변화가 거의 없을
정도
로 안정적이어서 배터리 수명도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안 연구원은 “전기전도도가 낮아 외면 받았던 리튬망간인산을 이차전지용 소자로 쓸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추가 연구를 ... ...
이전
1137
1138
1139
1140
1141
1142
1143
1144
1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