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711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의 양자컴퓨터, 우주방사선 때문에 지하골방 신세 전락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구에 참여한 윌리엄 올리버 MIT 전기공학 및 컴퓨터과학과
교수
는 “큐비트 중첩 문제는 양파와 같다”며 “우리는 지난 20년간 한 층씩을 벗겨 내고 있는데 이번에 방사선 배경 복사라는 층을 만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산업을 구축하려면 지상 방사선의 영향을 ... ...
건강한 피, 뇌졸중을 치료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국제학술지 ‘에이징’에 공개했다. 이리나 콘보이
교수
는 “꼭 젊은 피의 수혈이 필요한 건 아니다”며 “늙은 피를 희석하고 노후한 단백질만 바꿔줘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 ...
美 FDA 승인한 ‘혈장치료’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얼마나 들어있는지 확인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마틴 랜드레이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
는 “말라리아 치료제인 클로로퀸은 결국 과학적 데이터가 부족해 코로나19 치료제로 부적합하다는 결론이 났다"며 "혈장치료가 과학적으로는 근거가 있겠지만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아직 충분한 ... ...
삼성이 지원한 연구팀, DNA 컴퓨팅 안정적 구현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2015년 12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연구과제로 선정된 남좌민
교수
팀은 나노입자 기반의 인공세포막 플랫폼을 활용해 DNA 컴퓨팅 구현의 난제를 해결했다. DNA 컴퓨팅은 속도가 빠르고 크기가 작아 차세대 컴퓨팅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지만 안정적인 아키텍처를 구성하기 ... ...
40개 의대 학장 "의대정원 확대 재검토하고 국시 연기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우리는 진료실과 연구실에서 일하는 의사이기도 하지만 학생교육을 담당하는
교수
라는 책무로 인해 의학교육이 멈춰지는 것을 막는 데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의대생들이 적극적 의사표현의 수단으로 교육 현장을 떠나고 국시를 거부하고 ... ...
중국·캐나다에서도 아파트 동시감염 사례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보고 있다. 다만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말릭 피리스 홍콩대 공중보건대학원
교수
는 “배수관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염되는 사례는 거의 없다”면서도 “하지만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리디아 모라우스카 호주 퀸즐랜드공대 국제공기질연구소장은 ... ...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불가사리, 로봇으로 다시 태어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김지윤
교수
(왼쪽)과 연구 1저자인 이하준 연구원(가운데)의 모습이다. UNIST 제공 김
교수
는 “텐세그리티 구조의 특성을 이용하면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독특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다양한 메타 구조체를 만들 수 있다”며 “다양한 형상과 기능을 갖는 유연하고 강인한 블록을 쉽게 만들 수 ... ...
올해 대한갑상선학회 기초의학연구상에 송창면 한양대병원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물질이 DNA를 손상시킬 때 이를 복구하는 유전자들의 변이를 찾는 연구를 수행했다. 송
교수
는 “국내에서 발병이 증가하는 갑상선암의 발생 원인을 찾아 갑상선암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 연구를 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며 “향후에도 갑상선암을 일으키는 다양한 원인에 대한 연구로 ... ...
KAIST에서 3년간 논문 26편 쏟아낸 '진격의 육군 소령'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휴대전화 디스플레이 신기능을 연구하고 있다. 그는 “가족들의 도움과 연구실 동료들,
교수
님의 도움으로 학위를 취득하게 됐다”며 고마움을 표시했다. KAIST는 이번 학위 수여식에서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에게 명예과학기술학 박사 학위를 수여한다. 김 회장은 기업가로 세계 에너지 문제 ... ...
노준석 포스텍
교수
, 나노공학 학술지 선정 ‘젊은 과학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업 방식은 원자·분자 단위에서 시작해 큰 구조를 만들어나가는 방법을 말한다. 노준석
교수
는 서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기계공학 석사를,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대학원에서 기계공학·나노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4년부터 포스텍에 재직중이다 ... ...
이전
1139
1140
1141
1142
1143
1144
1145
1146
1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