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과일가게 주인은 다 아는 수학 상식! 바로 케플러 추측입니다. 크기가 같은 공을 상자에 가장 많이 담으려면 피라미드 모양으로 쌓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를 3차원이 아니라 더 큰 차원, 8차원과 24차원으로 확장하면 어떻게 될까요? 최근 우크라이나의 수학자가 이를 해결했습니다. 상상도 ... ...
-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수학동아 l2016년 06호
- 2006년 8월, 이전까지 행성으로 인정됐던 명왕성이 지위를 박탈당했다.국제천문연맹(IAU)은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분류하며, 나머지 여덟 개만 태양계의 행성으로 인정했다. 그로부터 약 10년이 흐른 지난 1월, 미국 천문학자들은 아홉 번째 행성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행성을 찾았다. 미국 캘리포니아공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이전에도 아홉 번째 혹은 열 번째 행성 후보였던 천체가 여럿 있었다. 하지만 명왕성을 비롯해 수많은 천체가 결국 행성이 아닌, 왜행성★으로 분류됐다. 일부 천문학자들은 플래닛 나인이 명왕성보다도 훨씬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 있다면 역시 왜행성일 거라고 주장한다. 플래닛 나인이 ... ...
- [재미] 마왕의 탑 제 6화 세상을 바꾼 사과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열 개의 점 중에서 홀수점은 두 개뿐이니까, 두 홀수점 중 한 홀수점에서 한붓그리기를 시작해 다른 홀수점에서 끝나겠군.”한붓그리기에 성공하자, 쾨니히베르크에 있는 가장 큰 건물의 문이 열렸다.세상을 바꾼 사과서둘러 들어가자 긴 통로가 나왔다. 등 뒤에서 문이 닫혀 버렸지만, 저 앞에 ... ...
- [과학뉴스] 거대 블랙홀 품은 꼬마 은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거대은하에서만 발견되던 거대질량 블랙홀이 우리은하보다 작은 조밀타원은하(compact elliptical galaxy)에서 처음 발견됐다.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진화그룹 연구팀은 슬론전천탐사(SDSS) 관측자료와 하와이에 위치한 CFHT 3.6m 망원경에서 얻은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질량이 우리은하의 40분의 1에 불과한 ... ...
- [과학뉴스] 세포 주기 조절 요인, 단백질(X) mRNA(O)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세포 주기를 조절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단백질이 아닌 전령 RNA(mRNA)라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알아냈다.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장팀은 세포의 주기에 따라 mRNA아데닌 꼬리가 달라지는 현상을 확인해 이같이 밝혔다. 세포 주기는 크게 간기와 분열기로 나뉜다. 연구팀은 세포 주기 ... ...
- [과학뉴스] 아카이브(arXiv)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수학, 물리학, 천문학, 컴퓨터과학, 통계학 분야 등의 ‘출판 전’ 논문을 수집하는 비영리 웹사이트다. 미국국립과학재단(NSF)의 지원을 받으며 코넬대가 1991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최근 송유근 UST 박사과정 연구원과 박석재 한국천문연구원 전 연구위원이 이곳에 올린 논문이 표절 의혹을 받으면서 ... ...
- [과학뉴스] 완벽한 초콜릿 레시피의 비결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입안에서 살살 녹는 풍성한 미감과 낮은 칼로리, 두 가지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초콜릿은 없을까. 벨기에 연구팀은 귤껍질에서 힌트를 찾았다.벨기에 루벤카톨릭대 아넬린 리골 연구원팀은 귤이나 오렌지, 레몬 등의 껍질에 들어있는 리모넨 성분이 저지방 초콜릿의 굳는 속도를 늦춘다는 사실을 알 ... ...
- [과학뉴스] 가방 끈 긴 사람, DNA가 다르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박사 학위를 따는 등 공부를 오래한 사람이 남들과는 다른 DNA를 갖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다니엘 벤자민 교수를 주축으로 한 사회과학유전자협회 컨소시엄(SSGAC)은 유럽인 30만 명의 DNA 샘플을 이용해 학업 기간과 유전자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공부를 오래 한 ... ...
- [과학뉴스] 낙타 유전자 다양성의 비결은 ‘여행’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단봉낙타는 지난 3000년 동안 사막을 여행하는 사람들의 발이었다. 하지만 단봉낙타가 어떻게 가축화됐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유전자들이 선택됐는지는 알려진 게 없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수의대 연구팀은 단봉낙타가 가축화 과정에도 불구하고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띠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 ... ...
이전114011411142114311441145114611471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