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뉴스
"
연구원
"(으)로 총 16,10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사]한국에너지기술
연구원
2018.11.02
◇한국에너지기술
연구원
△구매자산실장 신지현 ...
한국-UAE 메르스·우주탐사 공동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교통 관리체계를 개발하는 연구에 함께 뛰어든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와 UAE 석유공사가 이산화탄소 저감 및 청정연료를 개발할 계획이다. KIST는 UAE 기후변화환경부 및 식품감독청과 공동으로 스마트원자로를 이용한 해수 담수화 사업을 연구한다. 한국과 UAE는 협력을 ... ...
2020년대 환경파괴 없는 ‘수소열차’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열차 운용에 필요한 km당 연료비용은 디젤 3000원, 수소 1730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류
연구원
은 “수소 가격도 점점 떨어지고 있어 10년 전에 비하면 거의 반값으로 떨어졌다”고 말했다. 크리스 그레일링 영국 교통부 장관도 “수소전기열차는 다른 친환경 열차보다 장점이 많다”며 “2020년대에는 ... ...
커피얼룩은 왜 고리모양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느려지며 그 속도 비율은 남은 물의 양의 제곱근에 정확히 비례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김
연구원
은 “복잡한 현상에 숨은 단순한 규칙성을 발견하고 크게 놀랐다”고 말했다. 커피 자체의 특성을 밝힌 것도 흥미롭지만, 디스플레이 등을 제작하는 차세대 공정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우리은하, 100억년전 위성은하 먹고 자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보이는 가이아 엔켈라두스 출신 별들도 거꾸로 회전하는 궤적을 보였다. 헬미
연구원
은 “엔켈라두스는 그리스 신화의 거인으로 시칠리아의 에트나 산에 묻혀 지진을 일으키는 인물”이라며 “이번 연구로 가이아의 데이터에 깊이 묻혀 있던 진실이 우리은하를 뒤흔들고 있다”고 말했다. ... ...
“10년 전 ‘자성 그래핀’ 주변 반응 냉담했지만…지금은 함께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차원 자성 반데르발스 물질’을 발견해 세계 과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킨 박제근 기초과학
연구원
(IBS) 강상관계물질연구단 부연구단장(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은 지난달 29일 서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연구성과를 얻기까지 걸어온 시간들을 회상하며 이처럼 말했다. 자성 그래핀은 2차원 자성 ... ...
“인간 개입없는 야생의 땅, 전체 육지의 23%뿐”
동아사이언스
l
2018.11.01
영역으로 남아있다고 분석했다. 연구를 주도한 제임스 앨런 퀸즐랜드대 생물과학과
연구원
은 “육지 위의 야생구역인 숲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생산하는 지구의 허파 역할을 하고, 바다 역시 온실기체를 흡수해 지구온난화를 막는 역할을 한다”며 “지구의 자정 시스템의 핵심으로 ... ...
[과학게시판] 국립과천과학과 10주년 기념 특별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왔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등 원자력 유관기관 및 출연(연) 연구인력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준위방폐물의 안전한 처분을 위한 URL의 구축 및 운영 방안 등을 논의했다. ... ...
IBS 인지및사회성연구단 공동단장에 이창준 KIST 박사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의 공동연구단장으로 교세포 분야 전문가인 이창준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 신경교세포연구단장(사진)을 선임했다고 31일 밝혔다. 이 신임 단장은 신경세포를 초점으로 연구를 진행하던 뇌과학에서 교세포의 중요성을 세계에 알린 주인공이다. 교세포는 신경교세포 또는 ... ...
난방용 태양열 저장 열배터리 효율 2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온수를 만들 수 있는 운전 시간도 이전보다 70분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신 선임
연구원
은 “도시의 차세대 냉난방 시스템의 명확한 발전 방향을 제시한 것”이라며 “향후 상용화를 위한 실증 단계를 거친 다음, 건물의 에너지 자립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 ...
이전
1143
1144
1145
1146
1147
1148
1149
1150
1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