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다이아몬드 능가하는 신구조 탄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새로운 탄소가 탄생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연구팀은 비결정성 탄소를 가열했다가 급히 식히는 방법으로 다이아몬드보다 강하고 밝은 탄소 구조를 만들었다고 ... 만들
수
도 있다. 기존에는 어려웠던 nm 크기의 다이아몬드 주삿바늘이나 필름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이용한다. 공업용 접착제로 후가공을 하지 않고도 단단한 물체를 완성할
수
있다. 이 교
수
는 “다당류 중에 칼슘을 좋아하는 성분이 분말에 엉겨 붙는 원리”라며 “아직 노즐이 막히는 문제가 있지만, 적정한 접착제의 농도와 노즐 지름을 찾는 중”이라고 말했다. 미역에서 추출한 물질이라 먹어도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Pathfinder0.000x1963년 미국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는 흥미로운 논문을 발표했다. 로렌츠는 기상현상 시뮬레이션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처음부터 끝까지 멈추지 않고 계산 ... 문제가 하나 있다. 부피가 0인 프랙탈 치즈는 아무리 먹어도 배가 부르지 않다. 고객이 없을
수
도 있다).The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올해 83세의 ‘현역’ 물리학자 스티븐 와인버그는 표준모형을 완성한 공로로 셸던 글래쇼, 압두스 살람과 함께 1979년 노벨물리학상을
수
상했 ... 너머’를 꿈꾸다Part 4.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Part 5. 스티븐 와인버그 교
수
인터뷰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리 연구원은 한국 과학자들의 출전을 기대했다. 어릴 때부터 보아나 현아 같은 한국 가
수
들에게 많은 영감을 받았다는 그녀는 한국의 문화가 매우 창의적이라고 평가했다. “많은 사람들 앞에서 춤을 추는 것이 부끄럽다는 분들한테는 영화 ‘마션’을 보라고 권해드리고 싶어요. 모든 일에 조금은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인증 제도인 ‘블루사인’을 받았더라도 PFC가 있을
수
있다. 현재 소비자가 할
수
있는 일은, 판매 매장과 제조사에 반복적으로 문의하는 방법뿐이다. 윤리적인 패딩을 요구할 권리미국의 언론인이자 작가인 헤더 로저스는 ‘사라진 내일: 쓰레기는 어디로 갔을까’라는 책에서 ‘일회용 포장재 ... ...
[Career]도전! 유니스트 12 ‘촉매’처럼 사람들을 이어주는 연구자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전기를 만드는 실험이 한창이었다. 김 교
수
는 “연료전지는 에너지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고효율 에너지원으로, 환경을 지키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 ...
[과학뉴스]멍멍! 세계 최초의 시험관 개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최근 미국 코넬대학교 알렉산더 트래비스 교
수
팀이 세계 최초로 강아지를 체외
수
정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체외
수
정은 신체 밖에서 난자와 정자가 만나
수
정이 이 ... 희귀한 야생 개과 동물들을 보존하거나 개의 유전적 질병을 치료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어요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복면가왕 '롤라 자파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예? 저…, 전…, 고음…불….”썰렁홈즈는 극구 사양을 했지만 결국 노래를 부를
수
밖에 없었다. 결과는? 고음불가인 썰렁홈즈의 쇳소리에 방청객들이 모두 놀라 자빠지는 불상사가 발생하고 말았다! 흑…, 썰렁홈즈 지못미…!그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인간이 2000년 넘게 품어온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질문에 대한 답을 할
수
있게 됐지요. 하지만 표준모형은 아직도 완벽한 답을 내놓진 못하고 있어요. 힉스의 발견은 표준모형의 1차적인 완성이자 우주의 비밀을 풀기 위한 또 다른 숙제가 됐답니다. 일러스트 : ... ...
이전
1144
1145
1146
1147
1148
1149
1150
1151
1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