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911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미국 대선 ‘가짜뉴스’는 일부 사람들이 주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1.25
연구도 나왔다. 앤드루 게스 미국 프린스턴대 정치학과 교수팀은 이달 9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미 대선에 참여한 유권자 1191명의 페이스북 게시물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8.5%만 가짜뉴스를 공유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65세 이상 페이스북 이용자 중 가짜뉴스를 공유한 ... ...
“잠 모자라면 치매 빨리 온다”
2019.01.25
더 많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동물 및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밝혀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2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먼저 잠을 자지 않은 쥐와 잠을 잔 쥐를 대상으로 뇌 바깥을 흐르는 체액인 뇌간질액(ISF) 속 타우 농도를 측정했다. 쥐에게 자극을 줘 잠을 자지 못하게 하자 평소 ... ...
중국, 유전자 편집 원숭이로부터 5마리 원숭이 복제
동아사이언스
l
2019.01.25
연구팀은 지난해 1월에는 세계 최초로 체세포핵치환 기술을 활용해 원숭이를 복제해 국제
학술
지 ‘셀’에 발표한 바 있다. 연구팀은 이번에도 같은 기술을 썼다. BMAL1 유전자는 동물의 생체시계 작동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로 이를 제거하면 수면병 및 호르몬병, 우울증, 조현병 등의 다양한 정신적 ... ...
슬라임 유해성 과장한 서울대 논문 재검토
동아사이언스
l
2019.01.25
분명 있다”며 “국민 건강이나 안전과 관련된 연구는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만큼 순수
학술
연구보다 더 엄격하게 다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대 연구진은 어린이용품에 의한 유해물질 노출 연구에 지난해까지 3년간 총 13억6000만 원을 지원받았다. 비용의 대부분은 전국 16개 시·도의 0~1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신화 올해도 계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할 기술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효소 기술을 꼽아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24일(현지시간) 소개했다. 단백질 공학을 통해 목적에 따라 3세대 유전자 가위에 쓰일 수 있는 다양한 효소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Sniper Cas9’이란 새로운 효소로 3세대 유전자 가위 기술의 ... ...
근육세포 울퉁불퉁한 표면에서 잘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키웠을 때보다 더 잘 자라고 신경세포와 결합도 잘 이뤄진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22일 발표했다. 근육세포 연구는 다양한 곳에 이뤄지고 있따. 근육세포를 키워 이식해 망가진 근육을 재생하거나 이식용 인공근육을 만들려는 시도도 있다. 근육세포의 수축력을 ... ...
삼켰다 꺼내는 식도암 진단 알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식도암을 진단할 식도 조직을 얻을 수 있는 ‘에소파캡’를 개발했다고 이달 22일 국제
학술
지 ‘임상 암 연구’에 실었다. 식도암은 세계적으로 암 발생률 8위, 사망률 6위인 질병이다. 술과 담배가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동양에서 흔한 뜨거운 차나 국물을 마시는 것도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 ...
암 유발 단백질 ‘라스’ 분해하는 간암 치료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단백질인 ‘라스(Ras)’를 분해해 암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단백질 라스는 대다수 암에서 돌연변이로 발견될 확률이 높다. 라스 돌연변이는 세포 성장과 관련된 신호전달계를 활성화하는 ... ...
KAIST-딥마인드팀, 공학 난제 해결 AI이론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딥마인드는 바둑 AI ‘알파고’를 개발해 유명세를 탄 기업이다. 연구진의 성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 16일자 온라인판에 ‘포커스’ 형태로 게재됐다. AI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데 기본이 되는 강화학습은 ‘기계학습(머신러닝)’의 한 영역으로 20여년 동안 컴퓨터 ... ...
[팩트체크] 잘못된 논문에…“슬라임 유해성 과장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화학과 교수)도 “함량과 용출량이 큰 차이가 없다고 말하려면 이를 입증해야 한다.
학술
적으로도 일방적인 주장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용출량을 측정하는 방식과 함량을 재는 방식에는 비용 차이가 거의 없다”며 “연구자는 국민에게 공포심을 조장하기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 ...
이전
1144
1145
1146
1147
1148
1149
1150
1151
1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