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3,42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 때문에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6
병을 일으키는지 알아 내기 위해서지요. 또, 암컷에게
유전
되면 그 암컷을 죽게 만드는
유전
자를 넣어서 해충이 더 많이 번식하는 것을 막을 예정이라고 해요. 농작물의 피해를 막기 위한 해충과 과학자 사이의 싸움이 흥미롭네요 ... ...
존엄사, 의학에게 묻다
과학동아
l
200912
인류의 재앙인가’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석유 수요가 점점 늘어나는 상황에서
유전
을 계속 개발하기보다는 소비를 줄이는 방식으로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일이 시급하다는 이야기가 오갔다. 지난 4월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청정에너지연구센터의 김홍곤 책임연구원이 강사로 초빙돼 ‘에너지 ... ...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912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이 ‘조기 접촉 저지’라고 부른 이 현상에는 p16라는
유전
자가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부노바 교수는 “동물마다 진화를 통해 다양한 암 억제 메커니즘을 발전시켰다”며 “벌거숭이두더지쥐의 경우 암이 생기기 전 예방하는 방법을 찾는 데 매우 중요한 모델이 될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12
있는 지형인데, 이산화탄소를 사암층에 주입해 셰일층이 가둬두는 게 가능하다. 다만
유전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보가 부족하고 시추시설이 없어 매장하는 데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 마지막 후보지는 채굴성이 떨어지는 석탄층이다. 이산화탄소는 석탄의 표면에 흡수돼 장기간 안전하게 저장할 수 ... ...
초록빛 형광 원숭이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2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거랍니다.흠…. 하지만 좀 걱정스러운 게 사실이네요. 영장류의
유전
자 조작이 사람으로까지 이어지면 어쩌죠?연구팀은 인간의 신경질환이나 전염병 등에 유용하다고 말하고 있지만 실제로 이번 연구결과를 놓고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어요. 우리 원숭이를 이용한 연구가 ... ...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1
특히 같은 가족끼리는 표정이 더욱 비슷했다. 따라서 표정을 만드는 데 관여하는
유전
자가 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원시인도 현대인도 똑같아1967년 미국의 심리학자인 폴 에크만은 파푸아뉴기니에 사는 포레족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포레족은 영화나 TV는 물론 사진도 없었기 때문에 백인들의 ... ...
루게릭병, 패혈증 치료제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11
실렸다.연구진은 유해성을 지닌 물질인‘활성산소’에서 세포를 보호하는‘SOD1’효소의
유전
자에 돌연변이를 일으켰다. 루게릭병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SOD1이 제 기능을 못할 경우 발병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연구팀의 실험 결과, SOD1 효소가 손상된 쥐에 패혈증 치료제 ... ...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0911
원심분리기로 바이러스 입자만 분리해낸다. 이렇게 정제된 바이러스는 독성이 강한
유전
자를 제거하는 약독화(藥毒化) 과정을 거치거나 클로로포름이나 아세톤 같은 유기용매로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불활성화(不活性化) 과정을 거치면 백신 원액이 된다.주사 1회분당 15μg(마이크로그램, 1μg=10-6g)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11
발표했다. 첸 교수팀은 쥐 척수신경세포에서 가려움증 전달과 관련된 GRPR
유전
자를 선택적으로 파괴시키기 위해 사포린이라는 독성물질을 투입했고 2주가 지나자 GRPR을 가진 척수신경세포가 75% 이상 파괴됐다.다음으로 연구팀은 히스타민을 비롯해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물질 6가지를 쥐의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11
냄새 맡는
유전
자 하나하나를 박테리아에 집어넣어 발현시키기로 했다. 다만 문제는
유전
자가 옮겨진 세포의 막 표면에 섬모 끝에 달렸던 것처럼 후각수용체 단백질이 위치하게 끌고 오는 일이었다. 박 교수의 연구팀은 망막 표면에 있는 광(光) 감각 수용체인 로돕신을 이용했다. 후각수용체에는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