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2,878건 검색되었습니다.
너에게 주고 싶은 달콤함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5
혈액 속 포도당의 양을
조절
하는 것은 무척 중요해. 혈액 속에 포도당이 어떻게 들어가고
조절
되는지, 왜 중요한 것인지 함께 알아보자. 사랑이듬뿍,특별한 사탕 만들기!와우~! 단맛에 대해 속속들이 알게 되었으니 이제 달코미에게 줄 사탕을 골라야겠어. 하지만 이런 평범한 사탕 말고 뭔가 특별한 ... ...
잘 먹어야 공부도 잘해
과학동아
l
200805
앞으로 자녀에게 공부하라는 잔소리를 하기보다 건강한 식사를 챙겨주는 것이 좋겠다.캐나다 앨버타대 폴 보이겔러스 박사팀은 잘 먹는 어린이가 공부도 잘한다는 연 ...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그는 “아침식사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하루의 식생활을 잘
조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피부에서 산소 감지한다
과학동아
l
200805
늘었지만 돌연변이 쥐는 아주 조금 증가하는 데 그쳤다. 즉 피부가 몸 속의 산소 농도를
조절
한다는 사실이 증명된 셈이다.존슨 교수는 “기존 운동선수들은 몸 속의 산소 농도를 높이기 위해 몸에 적혈구를 추가로 주입하거나 인공적으로 합성된 에리트로포이에틴을 주입하는 방법을 이용해 ... ...
1998년 이서구 교수의 활성산소 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05
이 교수는 퍼록시레독신이 우연히 생긴 활성산소를 없애는 게 아니라 뭔가 정교한
조절
과정에 관여한다고 추측했다.그런데 1990년대 중반 들어 과산화수소의 새로운 역할이 밝혀지기 시작했다. 바로 세포내 신호전달에 관여한다는 실험결과가 나온 것. 이 교수와 같은 NIH 소속인 토렌 핀켈 박사팀은 ... ...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05
나타내는 일련의 2진숫자의 기억장치 1963년 F 자코브에 의해 제창된 염색체 복제의
조절
기구에 대한 작업가설 자율적 복제 단위를 레플리콘이라 한다 예컨대 대장균의 염색체 DNA에는 그것 자체가 하나의 레플리콘이며, 에피솜(episome) · 플라스미드 등도 각기 레플리콘이다 각 레플리콘에는 ... ...
친환경으로 변신한 LED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05
흐르면 빛을 만든다. LED는 일종의 전자회로이기 때문에 컴퓨터 조작으로 손쉽게 색을
조절
할 수 있다. 가시광선뿐 아니라 적외선, 자외선까지 현재 LED가 표현할 수 있는 색은 1700만 가지가 넘는다.납이나 수은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기도 하다. 또 백열등의 10분의 1, 형광등의 절반 정도 전기면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04
개발 중이다. 망막은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으로 시각 작용의 중추다. 현재 빛의 굴절을
조절
하는 각막과 수정체를 대체할 인공물은 만들어졌지만 망막의 기능을 대체하는 기술은 미성숙한 단계다. 인공망막은 침과 전극으로 이뤄진다.현재 인공망막 기술은 앞을 전혀 못 보던 환자가 ‘H’나 ‘I’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04
영양분과 산소공급을 끊었던 것. 연구자들은 식물이 뿌리혹 마다 개별적으로 산소공급을
조절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고분고분한 박테리아가 모여 있는 뿌리혹에는 더 주고 말 안 듣는 박테리아 쪽에는 겨우 살 만큼만 공급했다. 일종의 성과급인 셈이다.아열대 해안을 아름답게 장식하는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04
이소연 씨는 우주에 함께 갈 러시아 우주인들과 3월 26일부터 이곳에서 머물며 컨디션을
조절
했다.수많은 보도진과 구경꾼이 모인 가운데 출정식을 마친 뒤 우주인들은 높이가 55m에 이르는 소유즈 로켓으로 이동한다. 발사 2시간 30분 전. 우주인들은 엘리베이터를 타고 발사 로켓 꼭대기에 올라가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04
경악했다. 김 교수는 매니아티스 교수 실험실에 있을 때 STAT1이라는 신호전달단백질이
조절
되는 메커니즘을 밝혀 1996년 ‘사이언스’에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이런 성과가 인정돼 2002년 KAIST에 부임한 김 교수는 그 뒤 약물의 표적을 발굴하는 연구를 시작했고 2004년 바이오벤처 CGK를 세웠다. 예를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