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
있어요. 그래서 청개구리는 우리나라의 개구리 중에서 가장 작지만, 그 어느 개구리보다
큰
소리를 내지요.그런데 물 속에서 노래하는 다른 개구리와 달리 청개구리는 물에 둥둥 떠서 노래하지 않아요. 특히 청개구리는 논둑이나 논 안에서 노래해도 진흙 같은 구조 위에 올라가서 노래를 하기 때문에 ... ...
[수학뉴스] 사회적 연결망에서는 작은 고추가 맵다
수학동아
l
201508
활용해 매우 정밀하게 계산했지요. 이것을 소셜네트워크에 적용한 결과, 가장 영향력이
큰
것은 사용자가 1억 명이 넘는 트위터나 페이스북이 아니었습니다. 연결 수는 적지만, 다리 역할을 하는 작은 소셜네트워크가 슈퍼 전파자였어요.이렇게 슈퍼 전파자를 찾는 일은 실생활 곳곳에서 매우 중요한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
수학동아
l
201508
판단하기에 잰스키가 궁금해 하는 미세한 잡음은 국제전화 서비스를 운영하는 데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경영진은 그의 제안을 거절했고, 결국 잰스키는 1935년 이 분야를 떠났다.잰스키는 안타깝게도 불과 44세의 젊은 나이에 생을 마감했다. 그의 연구는 죽음 이후 더 빛을 발했다. 1973년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
수학동아
l
201508
어렵다”고 말했다. 진단 기계의 정확성보다 병에 걸릴 확률이 진단이 맞을 확률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다. 하물며 메르스는 전체 인구 중 186명이 감염된 병이다. 걸릴 확률이 십만 분의 일보다 낮다. 김 교수는 이 경우 반복 검사를 통해 진단 오류를 줄인다고 말했다.빅데이터로 더욱 정확한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08
이토록 아름답게 디자인할 수 있었을까요?비정형 건축물을 디자인할 때는 컴퓨터가 가장
큰
역할을 합니다. 실제로 종이 위에 그리는 평면도면 설계 방식만으로는 DDP와 같은 비정형 건축물을 지을 수 없어요. 그래서 DDP는 ‘빌딩정보모델링(BIM)’이라는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3차원 입체설계 ... ...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
보면 아이들이 마음을 열고 받아들여지는 것이 느껴지는 순간이 있어요. 그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낀답니다.3 곤충호텔에 관심 있는 친구들에게 한 마디 해 주세요~!곤충들이 살기 좋은 곳은 촉촉하고 따뜻한 곳이에요. 곤충이 살기 좋은 곳은 사람도 살기 좋은 곳이지요. 그래서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08
만든 생산품과 팔린 제품의 수를 최대한 비슷하게 만들어 재고를 최소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장 교수팀은 이 문제의 해결 방법을 찾기 위해 2m 길이의 브릭 모형 공장을 직접 만들었다. 이때 브릭에 모터와 중앙처리장치를 결합한 레고사의 ‘마인드스톰’을 활용했다. 이렇게 만든 브릭 모형 ... ...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
과학동아
l
201508
선을 처리하면 언니는 자유롭게 선의 경계를 뭉개는 스타일이다. 무엇보다 가장
큰
차이로 꼽은 것은 성격이었다. 영채 씨는 “언니처럼 연고도 환경과 경험의 차이 때문이다. 하지만 일시적인 환경 조건이 어떻게 몸과 성격, 취향을 바꿀까. 과학적으로 이야기하면 경험이 DNA의 ‘사용법’을 바꿔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08
히스톤 변형 등이 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퍼즐을 완성하려면 좀더
큰
그림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쓰레기 DNA가 만든 유용한 RNA현재까지 퍼즐을 완성한 가장 강력한 후보는 비암호화 RNA다. 비암호화 RNA는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RNA다. 인간게놈프로젝트 결과 단백질을 만드는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08
현재는 실험실과 농장에서 줄기세포를 직접 사용하고 있다. 식물 줄기세포의 가장
큰
특징은 전형성능(totipotency)이다. 전형성능은 보통 세포 하나로 온전한 개체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인간세포에서도 전형성능을 유도할 수 있다면 피부세포 하나로 복제인간을 만들 수 있다는 의미다.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