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 별은 7천억의 1천억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우주의 끝까지 고려했다. 그래서 나온 숫자가 7천억의 1천억배다.드라이버 박사는 현재
망원경
이 관측할 수 있는 우주만을 고려했기 때문에 실제 별의 수는 훨씬 더 많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거의 무한히 많아서 그야말로 셀 수 없는 만큼 말이다.이렇게 무한히 많은 것 같은 별들도 계속 밤하늘에서 ... ...
48시간 동안만 재생되는 일회용 dvd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제1호 1946년에 은하전파와는 다른 전파원으로 확인되었고 52년에는 팔로마 천문대의 5m
망원경
으로 그것이 서로 충돌하며 교차하는 두 개의 나사선성운임이 확인되었다태양계에서 약 111광년의 거리에 있는 최근성(最近星)의 하나 실시연성(實視連星)이며 84AU 떨어진 태양의 반 정도의 질량을 가진 ... ...
95광년 밖에서 태양계의 형제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가장 가까운 값이다.이번 발견은 지구의 남반구인 호주의 사이딩 스프링에 있는 구경 3.9m
망원경
을 통해 모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미국, 호주, 영국의 다국적팀은 태양계에서 95광년 떨어져있는 HD 70642라 불리는 별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측정했다. 이 별은 태양과 크기와 구조가 비슷해 유사한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경우 이야기가 다르다. 구경이 1백50mm 가량 되는
망원경
이라면 대접근 시에 두 위성이
망원경
의 사정권에 들어온다. 대략 11등급대까지 밝아지므로 주변의 어두운 별 중에서 그 위치를 비교하여 위성을 확인 할 수 있다.최근의 대접근이었던 1988년에는 필름을 이용한 사진관측이 화성 관측의 핵심을 ... ...
전갈의 심장에서 찾은 최고령 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존재한다는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그 천체가 행성인지는 알 수 없었다. 결국 허블우주
망원경
의 정교한 관측 덕분에 이 천체가 목성 질량의 2.5배에 해당하는 최고령 행성으로 드러났다.여름 밤하늘에서 전갈자리의 안타레스 근처를 살피면서 최고령 행성이 살고 있는 별무리 M4를 찾아보자. M4는 ... ...
실험실에 떠오른 목성과 무지개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위쪽으로 잘 달라붙지 못하는 것이다.▶▶▶ 목성의 표면에는 왜 무늬가 있을까?목성을
망원경
으로 관찰하면 평행한 여러개의 줄무늬를 볼 수 있다. 목성의 표면은 짙은 대기로 덮여있다. 그 성분은 수소, 메탄,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등이다. 목성도 지구처럼 자전을 하는데, 이때 대기도 함께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성운 · 성단)를 109개 모아 84년에 출판했다이 목록에 수집된 성운 · 성단은 지름 5cm의
망원경
으로 관측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은 거의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그러므로 성운 · 성단을 표시할 때는 메시에의 이름에서 M과 그 목록의 번호를 붙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리보핵산(RNA)의 일종으로서 유전자DNA ... ...
핏빛으로 물든 괴물 기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떨어진 거리에 있는 가스와 먼지가 모여서 형성한 거대 기둥이다. 원뿔성운(지상의
망원경
으로 보면 전체 모습이 원뿔형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불리는 이 천체는 전체 길이가 7광년에 달한다. 사진에 찍힌 모습은 성운의 꼭대기 부분으로 2.5광년의 길이에 해당한다.그렇다면 원뿔성운이 ... ...
여름 은하수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성단의 주요 별들은 더욱 박진감 넘치게 보인다. 또한 옆에 위치한 산개성단 M6은 천체
망원경
에서 M7의 절반에 못미치는 크기임을 확인할 수 있다. M7과 마찬가지로 별들은 퍼져 있으며 밀집도는 비슷하다.만일 M6이 M7처럼 크고 화려했다면 이 두 성단은 남천의 이중성단으로 이름을 날렸을지 모른다. ... ...
태양 표면은 울퉁불퉁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이 사진은 지난해 카나리군도 라팔마섬에 위치한 스웨덴관측소에서 구경 1m짜리 태양
망원경
으로 찍은 것이다. 이번에 공개된 사진은 태양의 가장자리 부분을 고해상도로 촬영한 것으로 지구의 산과 계곡과 비슷한 울퉁불퉁한 경관의 모습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태양 표면 사진은 밝고 어두운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