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ICM 초청 강연자를 만나다➋] “재미있는 수학자로 기억되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반복하기도 합니다. 이외에 특히 도움 된다고 여기는 것은 ‘공동 연구’입니다. 같은
문제
에 대해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힘이 되고 즐겁거든요. 대개 수학자마다 특기와 접근법이 달라 서로 도움을 줄 수 있어요. Q ICM 초청 강연자로 선정된 소감이 궁금해요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 #3. 비율을 알면 방정식의 답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중학교 1학년 문자와 식 단원 ‘일차방정식의 활용’에서는 디오판토스의 묘비 속
문제
처럼 전체에 대한 일부분의 정보를 가지고 전체를 구하는
문제
가 등 ... 낯선
문제
가 많기 때문에 그만큼 연습이 필요하답니다.비율 공식을 적용해 방정식을 세우는
문제
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예요 ... ...
[킹앤카] 수학 동아리 홍보 대소동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
[핫이슈] 머리만 감아도 염색이? 모다모다 샴푸 위해성 논란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1,2,4-THB의 양이 극소량일 뿐만 아니라, 샴푸로 사용하는 만큼 두피에 닿는 시간도 짧아
문제
될 게 없다는 것이다.반면 식약처는 “국민 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식품과 의료제품에 대해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허가·심사하고 있다”며 “국민이 안심할 만큼의 안전을 확보하려면 과학적 ... ...
돼지 심장 이식 성공 이종장기 시대 앞당겨진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단백질이 인체에 미칠 영향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현재까지 이종장기는 장기 부족
문제
의 유일한 해결책으로 꼽힌다. 차세대 기술로 사람의 줄기세포를 이용해 돼지에서 장기를 키우는 키메라 기술 등이 있지만, 상용화되기까지 여전히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종장기 시대에 가장 중요한 ... ...
[2교시] 건물 안으로 들어갈… 수 있나요?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대지 않았다. 밖에서 화장실에 가는 일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최 부팀장은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가 화장실”이라며 “장애인 화장실을 찾는 것 자체도 어렵지만 찾아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고 했다. 장애인 화장실 이용하기. 기자가 배운 ‘교육과정’ 중에서 가장 어려운 ... ...
[인터뷰] “다음 세대를 위한 길에 함께 하길”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부족해 전기가 닿지 않는 곳에 물을 공급할 뿐 아니라, 화석 연료로 인한 기후변화
문제
도 해결할 수 있다. 2016년 8월, 우노는 크라우드펀딩으로 3억 원가량 선주문을 받았다. 박 대표는 “우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재생 가능한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콩기름과 같은 천연자원을 활용한 포장지를 ... ...
응용│몸·마음 여는 1조 개의 열쇠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더불어 코를 통해 들어온 향기가 바꿀 우리의 미래를 상상해 보면 어떨까. ※필진소개
문제
일.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에서 신경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신경과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과학과 교수로 후각을 이용한 질병 ... ...
[만화 뉴스] 과정까지 깨끗하게, ‘무혈청 배양육’ 독도새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태아의 혈청을 배양액으로 사용했어요. 이는 소 태아를 도살해야 하기 때문에 윤리적인
문제
는 물론 비용도 많이 들지요. 셀미트는 혈청을 사용하지 않고도 영양 성분과 성장 효소를 첨가해 ‘무혈청 배양액’을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이후 독도새우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무혈청 배양액에서 ... ...
[특집] 우리 사회에 어떻게 기여했을까? 시민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전문가만으로 모든
문제
를 해결하려고 하지 말고 다양하고 새로운 접근법으로
문제
를 바라보자는 것에서 시작됐다”며, “실험실 속 과학이 사회로 나오면 그 결과는 실험실과 다를 수 있기에 과학과 시민이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시민과학의 의미를 강조했습니다. 같은 연구소의 김동광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