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신이 다듬은 것처럼 정교한 육각형 모양을 하게 됐을까요?지삿개 주상절리 알아보기
바다
와 부딪치는 절벽은 대개 거대한 암석 덩어리입니다. 하지만 중문 해안가에 서 있는 이 절벽은 마치 누군가 다각형 기둥을 조각해 나란히 붙여놓은 것 같은 모양입니다. 이런 암석 구조를 ‘주상절리’라고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이상이 생겨서 발사체가 넘어져 폭발하고 말았지요. 스페이스X는 앞으로도 발사체를
바다
위에 착륙시키기 위한 도전을 계속할 계획이에요. 미래의 우주여행은?어느덧 저 멀리 푸른 지구가 보여. 요즘 지구에서는 우주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작업이 한창이야. 우주 엘리베이터가 완성되면 우주로 ... ...
Intro. 꽃 피는 수학적 생존전략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황금빛
바다
가 있다. 작고 노오란 꽃잎이 수백, 수천만 장이 모여 이루는 ‘유채꽃
바다
’다. 유채꽃이 많이 피어 있는 곳은 봄이 되면 꽃만큼이나 많은 벌과 나비들이 찾아온다.이들은 꽃으로부터 꿀을 얻는 대신, 이꽃 저꽃 옮겨 다니면서 수술에 있는 꽃가루를 암술에 묻힌다. 식물은 벌과 나비뿐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나라
바다
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대표 수산물을 파악할 수 있는 수산물 지도도 전시돼 있었지요. 생생한
바다
생물을 통해
바다
를 깊이 알고 싶은 친구들은 수산과학관으로 놀러 오세요~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이 보고서의 결론을 한국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괌에 설치된 사드 레이더는
바다
를 향해 있지만, 후보지로 꼽히는 평택 기지 등에서는 레이더가 주민들의 머리 바로 위로 지나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레이더를 최대한 낮췄을 때(지표면과 각도 5°) 완전한 안전 거리인 5.5km에서 안전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행동한다는 것이다. 미국의 생태학자 워더 앨리는, 나그네쥐(레밍)들이 종종 단체로
바다
에 뛰어들어 목숨을 잃는 행동은 개체군이 지나치게 급증해 다 같이 공멸하는 사태를 막기 위한 숭고한 희생이라고 설명했다. 나그네쥐도 딸기독화살개구리 못지않게 의로운 동물인 셈이다.종의 이득을 태연히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알둥지를 만들때보다 구애하기 위해 땅을 긁을 때 더욱 정성을 들인다고 합니다.
바다
오리는 땅을 파서 굴을 넓히는 방법으로 암컷에게 다가갑니다.새와 공룡의 자식사랑새와 공룡은 구애 행위뿐만 아니라 알을 낳고 새끼를 돌보는 행동도 닮았습니다. 새에게 알을 낳는 지역이 따로 정해져 있듯 ... ...
[과학뉴스]이제 로켓도 재활용 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위성이 실리는 ‘상단’으로 구성돼요. 지금까지는 추진체의 연료가 모두 소진되면 이를
바다
에 버렸어요. 무게를 줄여 우주까지 올라가는 데 필요한 연료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지요. 이렇게 버려진 추진체는 재활용이 불가능해 자원의 낭비가 무척 심했답니다. 만약 재활용이 가능한 로켓 추진체를 ... ...
[News & Issue] 100m 그물망 띄워
바다
쓰레기 ‘싹’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밝혔다. 오션클린업은 이르면 오는 4월 길이가 100m, 높이가 3m에 이르는 부유식 그물망을
바다
에 ‘학익진’ 형태로 설치해, 그물에 걸린 쓰레기를 태양광발전장치를 이용해 회수할 계획이다.오션클린업의 최고경영자 보얀 슬랫은 2012년 테드(TED) 강연에서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제거하는 이 같은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가능성이 극히 적다. 그럼에도 113번 원소의 발견은 의미가 굉장히 크다. ‘불안정한
바다
(sea of unstability)’ 한가운데에 있을 ‘안정성의 섬(island of stability)’ 때문이다.‘안정성의 섬’은 안정된 핵을 가진 초중량 원소군을 일컫는다. 원자번호가 커질수록 핵 안의 양성자 개수가 많아지면서 원소가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