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경
변형
전환
개종
변질
변용
d라이브러리
"
변환
"(으)로 총 1,327건 검색되었습니다.
HDTV열풍, 일본열도를 강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명명된 이 HDTV 신호
변환
기는 HDTV 신호를 NTSC신호로
변환
시키는 장치다. 실제로 신호
변환
기는 HDTV에 버금가는 화면을 제공해주는데 가격은 1천7백달러.일본의 히다치사도 HDTV의 원리에 기초를 둔 디지털식 비디오테이프 레코더를 개발했다. 이 레코더는 2분의 1인치짜리 메탈테이프를 사용하는데 1백5 ... ...
수직막대에서 전자주사 안테나로 진화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전파를 효과적으로 송수신하는 장치, 즉 고주파전류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파로
변환
시키는 장치다. 그래서 흔히들 정보가 빠른 사람을 가리켜 사방에 안테나를 쳐두고 있는 사람이라고 말한다.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전기제품의 스위치를 넣으면 어떻든간에 전파를 복사(輻射)하게 된다. 그러나 ... ...
핵폐기물 처리 완벽한 기술 아직 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군분류된 핵종들을 가속기에서 고에너지로 가속된 양성자로 충돌시키면, 쪼개져 핵
변환
이 일어나 안정된 원소로 변한다는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실험실 수준에서 이미 개발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방법이 개발되면 핵폐기물처리에 큰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핵폐기물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가속시킬 때의 에너지)에너지를 질소 원자에 충돌시키면 산소와 수소가 발생하는 등의 핵
변환
이 일어나는 것을 관찰했다. 즉 러더포드는 전하를 가진 입자를 인위적으로 가속하며 충돌시키면 핵내의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음을 제시한 것.1930년대에는 반데그라프에 의해 정전압가속기가 탄생했다. ... ...
푸른 장미의 등장은 시간문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화합물에서 유래한다. 효소의 도움으로 이 화합물이 세 색소중 하나로
변환
되는 것. 따라서 과학자들은 이미 장미 곁을 떠났거나 장미속에 잠재돼 있는 효소를 발견하는 일이 성공의 관건이라고 믿고 있다. 실제로 이 효소와 관련된 유전자만 찾아낸다면 그것을 장미속에 집어넣는 것은 오히려 ... ...
한글을 잘쓰는 요령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수 있기 때문에 (조합형이나 KS완성형중 하나 선택) 한글 형식의 파일을 아스키 파일로
변환
하는데 사용된다. 새로운 이름을 입력할 때 덧붙이는 말과 암호를 입력할 수 있다. 덧붙이는 말은 '불러오기'를 할 때 파일 목록에 나타나서 파일의 내용이 무엇인지 기억하기 좋게 해주며, 암호는 '불러주기 ... ...
첨단 가전제품 이용도 높이려면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속도조절을 할 수 있다. 화면속도를 조정할 때는 음성은 나오지 않는다. 또한 속도
변환
시 화면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화면 떨림 조정버튼(일반적으로 tracking버튼이라고 함)으로 위아래로 조정하면 금방 없어진다.최근에 일부 제품에서 채택된 VISS(VHS Index Search System)란 녹화 중 ... ...
키보드없는 컴퓨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읽을 수 없기 때문에 가나만으로 단어를 입력해야만 한다. 그러면 기계가 그것을 한자로
변환
시킨다. 키보드로 입력하는 기존의 워드프로세서와 똑같은 방식이다.AI노트는 스트로크(글씨 쓰는 것) 순서가 중요하다. 숫자와 로마자에서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쓰여진 '0'자만을 ... ...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통역사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전송시키고(변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시켜(복조) 컴퓨터에 보내준다. 따라서 모템은 컴퓨터 통신의 핵심적인 장비라고 할 수 있다.내장형과 외장형모뎀은 여러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기능에 따라 분류하면 가장 단순한 기능만을 ... ...
미국 공세에 쩔쩔매는 국내기업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무형의 재산으로 특허권이 인정받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특허권자는 특허를 자본으로
변환
시킬 수 있어 18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산업혁명의 원동력이 되기도 했다.20세기들어 컴퓨터 반도체 유전공학 등 신기술의 발전은 단지 '천재의 불꽃'으로 여겨왔던 특허의 개념을 또한차례 크게 변화시켰다.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