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혹시 당신은 디지털 과의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실천해 보세요. 주로 사용하는 앱별로 사용량과 목적을 파악하고, 내가 디지털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잘된 점과 고쳐야 할 점은 무엇인지 등을 돌아볼 수 있습니다.앱별로 이용 시간을 확인하는 방법은 기종에 따라 달라요. 갤럭시폰은 [설정]-[휴대전화 정보]-[상태 정보]-[가동 시간]에서. 아이폰은 ... ...
- [기획] 먹는 약, 코로나19에 희망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들여오기로 계획했지요. 그리고 지난해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팍스로비드의 긴급 사용을 승인하며 이중 21만 명 분이 1월 13일 국내에 먼저 들어온 겁니다. 머크의 치료제인 ‘몰누피나비르’는 아직 승인 여부를 검토받고 있습니다.이전에도 코로나19 치료제가 있었지만, 이번에 들어오는 ... ...
- [헷갈린 과학] 멜로디와 리듬 사이 전기 기타 vs 베이스 기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만들며, 클래식 기타 줄은 나일론 소재로 만듭니다. 통기타는 삼각형 모양의 ‘피크’를 사용해 동시에 여러 줄을 치는 ‘스트로크’ 주법으로 연주하는 반면, 클래식 기타는 손가락으로 한 음씩 연주하는 ‘아르페지오’ 주법으로 연주하지요. 둘은 겉보기에 큰 차이가 없지만, 줄의 소재 차이 ... ...
- [스미스의 탐구 생활] 자석의 원리로 공중부양을! 마그넷 사이언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레일에서 살짝 공중부양해 마찰 없이 빠르게 달리는 자기부상 열차는 앞으로 널리 사용될 날을 기다리고 있기도 하죠. ‘4M 마그넷 사이언스’로 자석의 원리를 배워 보세요. 나침반은 물론이고, 자석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자동차와 공중부양 UFO, 자석으로 꾸밀 수 있는 조각물 등 10가지 재미있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이슬람의 수학자 ‘알콰리즈미’의 이름에서 처음 유래했어요. 원래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해 연산하는 과정을 의미했는데, 훗날 수학뿐만 아니라 컴퓨터, 생명공학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되면서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절차와 방법’을 일컫는 말로 확장했습니다. 같은 문제라도 ... ...
- [핫이슈1] 치면 안타 되는 속도와 각도는? 한국형 배럴 타구!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부분에서도 기대 득점 가치를 잘 구하기 위해서 기계학습을 사용했어요. 분석 과정에서 사용한 타구는 11만 개였는데, 이 중 타구 속도가 190km/h 이상인 타구는 단 2개였어요. 이때 기계학습으로 타구의 속도와 발사 각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내 부족한 정보를 예측했지요. Q 배럴 타구 존의 기준은 ... ...
- [과학뉴스] 헤니파바이러스 단백질 구조 찾아 백신 개발까지 이어질까?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감염증(코로나19) 백신도 스파이크 단백질 전체가 아닌 일부분을 항원으로 사용한다.데이비드 베슬러 워싱턴대 교수는 “바이러스의 단백질 구조를 알아내면 안전하면서도 효과가 좋은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병뚜껑을 모았어요. 이 플라스틱 병뚜껑들은 플라스틱 방앗간에 기부돼 의미 있게 사용될 예정입니다. 정말 뿌듯해요. 따분행!캠페인정서연 기자재밌게 따·분·행!요구르트 병 4개를 분리배출했어요. 병을 씻는 게 좀 귀찮았지만 지구를 지킨다는 생각에 귀찮은 마음이 사라졌어요. 앞으로도 ... ...
- [만화 뉴스] 과정까지 깨끗하게, ‘무혈청 배양육’ 독도새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도살해야 하기 때문에 윤리적인 문제는 물론 비용도 많이 들지요. 셀미트는 혈청을 사용하지 않고도 영양 성분과 성장 효소를 첨가해 ‘무혈청 배양액’을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이후 독도새우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무혈청 배양액에서 배양해 독도새우 배양육을 만들어 첫 시제품으로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 198.7만 회채널명 : Mini Forest 미니포레스트 (구독자 수 : 48.5만 명)된장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메주는 콩을 삶아 절구에 찌고 발효, 숙성시켜 만들어요. 그만큼 오랜 시간과 정성을 다해 만든 고마운 음식이죠. 이렇게 손이 많이 가는 메주를 손톱만 한 크기로 만드는 데 도전해, 무려 200만 명의 눈길을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