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d라이브러리
"
수정
"(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인간의 사고가 오류투성이인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불리는 거대한 변화가 일어났다. 종래의 인간관과 물질관, 학문관과 과학기술관을 대폭
수정
시킨 이 변혁은 ‘정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인간의 마음과 뇌, 컴퓨터를 연결해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1950년대를 기점으로 이뤄진 인지혁명을 통해 과학계는 인간 자신과 동물, ... ...
비만 질환 모델 쥐 국내서도 탄생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현재 4-6세대의 비만 쥐 36마리를 보유하고 있다. (주)대한바이오링크는 이 쥐를 인공
수정
방법으로 대량번식시킬 수 있는 시설을 만들어 빠르면 올해 말부터제약회사와 연구소 등에 공급할 예정이다 ... ...
주인 바뀐 렘브란트 작품 속 얼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지도적 인물이던 하르트만조운인 것으로 1876년 판명됐습니다. 화가들이 이 얼굴을 약간
수정
해 스밤메르담으로 둔갑시킨 것이죠.일설에 의하면 스밤메르담이 렘브란트의 외아들인 티투스를 치료해준 적이 있다고 합니다.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데, 가장 사랑하던 아들을 치료해준 사람으로 만난 ... ...
인체 결합과 분리의 딜레마 샴쌍둥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똑같이 둘로 나뉘어 각각 하나의 개체로 형성되면 일란성쌍생아가 된다. 그러나
수정
란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일부분이 붙은채로 발육하면 신체의 일부분이 붙은 결합쌍생아가 태어나는 것이다.결합쌍생아에서 붙는 신체 부위는 다양하다. 가슴이 붙어있는 흉결합쌍생아가 전체 결합쌍생아의 약 ... ...
러시아 유인 달 선회 비행 L-1 계획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옛소련이 미국을 앞서있다는 적신호였으며 미항공우주국(NASA)은 준비중이던 계획을
수정
해야만 했다. 하지만 앞선 것으로 보였던 옛소련의 유인 달 선회 비행은 실제로는 이뤄지지 못했으며 계획자체가 비밀에 붙여졌다. 옛소련인들은 왜 달에 가지 못했을까. 유인 달 선회 계획의 전모를 살펴보자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한편 난자는 정자나 배아보다 동결이 쉽지 않기 때문에 1986년 독일에서 냉동난자로 체외
수정
된 아기가 처음 태어났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 8월 첫 아기가 태어났다.알코르는 냉동보존 서비스 중에틴저 교수의 인체 냉동보존 아이디어는 1960-1970년대 미국 지식인들의 상상력을 자극했다. 특히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생각은 갈릴레이의 조수로 일했던 이탈리아의 과학자 토리첼리에 의해 1644년에 와서야
수정
됐다. 그는 약 1m 길이의 한쪽이 막힌 유리관에 수은을 가득 채운 후 마개를 막았다. 이를 수은이 담긴 그릇에 거꾸로 세운 후 그 안에서 마개를 열었다. 그러자 수은주의 높이가 수은 표면으로부터 76cm의 ... ...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배란을 유도하는 약물이 발전해 한번에 채취할 수 있는 난자 수가 늘어나고 있고,
수정
및 배양기술의 발달로 잉여배아 수가 점점 늘고 있다. 특히 냉동배아는 시험관아기 수술 후 남는 잉여배아의 처리 문제로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배아의 동결보존 생존율은 ... ...
무기·복제·인공지능이 단골 메뉴 무지와 광기가 만든 마법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몇가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인간은 완성된 모습으로 복제되지 않는다. 하나의
수정
란으로 시작된 복제 인간은 보통의 아이처럼 어머니의 자궁에서 열달을 자라야 하고, 성인이 되기 위해서 20여년 동안 성장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영화에서는 복제인간이 성인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 ...
고양이 눈이 밤에 빛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주행성 동물들에 비해 훨씬 앞으로 튀어나와 있어 외부와 닿는 표면적이 넓다. 따라서
수정
체가 빛을 더 많이 모을 수 있다.고양이 눈의 홍채는 사람에 비해 더 많이 수축하고 이완될 수 있기 때문에 동공도 훨씬 크게 열린다. 이렇게 야행성 동물의 눈은 빛을 많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계됐기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