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싹
d라이브러리
"
순
"(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문화시대일수록 「교양독서」는 보다 절실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많은 것은 공상과학 심령과학 예언집 등이고, 그 다음이 과학자의 전기, 과학사 서적
순
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 신문에 과학 관계 기사가 있으면 꼭 읽는다는 학생은 18% 정도, 거의 읽지않거나 전혀 읽지않는다는 학생이 36% 정도로 나타났다.이러한 상황에 이르게 된 원인은 여러가지 있을 수 ... ...
'우리 마을 아니라면 원전 건설 찬성'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 보다 많았다. 또 응답자의 51.5%가 우리나라 원전의 이름을 알고 있었으며(고리영광 월성
순
) 체르노빌 사고에 대해서는 89.1%가 그리고 드리마일섬 사고에 관해서는 36.7%가 언론보도를 들어 알고 있다고 답했다.앞으로 우리나라가 개발해야 할 발전방식으로는 태양열발전이 56.4%, 원자력 발전 22.6%, ... ...
AIDS 왜 동성연애자에 많은가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회용을 써야 한다.영국에서는 최근 안전하게 사용하고 버리는 주사기를 새로 고안한 'P.시
순
'씨 등 3명의 연구팀이 'ID-테크'라는 회사를 설립하여 보급하기 시작했다.AIDS 자기진단방법영국의 신문 '더 선'에 게재된 AIDS의 자기진단방법. 아주 쉬운 해설이 있어서 이 질병의 증세를 쉽게 알 수 있다.1. ... ...
생태계, 소리없이 운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반면에 가장 많이 오염물이 쌓이는 나라는 폴란드 1백33만t 체코 1백30만t 프랑스 1백20만t
순
이다. 이런 불균형은 국제적인 논란의 원인이 되었지만 현재 대기오염 방지를 위한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유럽전체의 차원에서 해결방식이 모색되고 있다.미국 동부 연 50억 달러 피해현재 산성화의 ... ...
다윈이후 150년, 다시찾은 갈라파고스군도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수 없는 '수목'이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이 한 종류의 나무만으로 숲을 이룬
순
수림(단
순
림)을 이루고 있는 등 특이한 생태를 보여준다. 바다 이구아나도 그렇다. 원래 육생인 그들은 해조(海藻)를 먹고 살아가게 되면서 염분을 과잉섭취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염분을 배출하는 기관(機關 ... ...
PART8 세라믹스 재료 제2의 석기시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것은 적은 비용으로 고품질의 세라믹스를 만드는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순
도 및 균질성을 하나하나 개선해온 결과 얻어진 세라믹스의 잠재적인 가치를 생각해보면 제조공정을 완벽에 가깝게 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계속 개발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일이다. 물론 실험실 수준에서 ... ...
퍼스널컴퓨터 교실⑦ 중첩구조와 배열의 분류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④) 여기까지가 1단계이다.5) 다시 처음 한 쌍의 원소부터 시작하여 1)~4)를 반복한다. 만약
순
서를 교환할 원소가 하나도 없는 단계이면 끝마친다.(그림7) 문제2의 흐름도 (그림8) 그림7의 단계를 구체화 ... ...
PART9 초합금 극한상태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수많은 실험은 실패하고 말았다. 감마프라임이 대단히 부서지기 쉬웠기 때문이다.
순
감마프라임 Ni3Al의 시편을 가공하고자 할 때, 각 결정립의 강도는 크더라도 결정과 결정의 계면(界面)이 붕괴되어 시편전체가 가루로 부서져버리기 때문이다. 그런데 1979년 일본에서는 시료에 붕소를 미량 ... ...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희귀한 새들이 서식하는 철새도래지의 존재보다도 혼탁된 우리들의 마음을
순
화시키고 나아가 인간생존에 관련된 절대필요한 보편적인 자연구조와 생태계의 기능을 지닌 고귀한 원시적인 자연이라는 점에 눈돌릴 필요가 있다 ... ...
영상감축기술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일정한 전송속도에서 사용되는 각종 영상감축 및 부화화기술을 조사분석해 적용하는
순
으로 작업이 진행됐다. 1단계 작업을 마친 KAIST는 88년 6월까지 영상정보전달 인식기술의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해나갈 계획이다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