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텔레파시’ 동물 실험 첫 성공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활동을 실시간으로 읽어낸 뒤, 이를 수학적으로 변형해 전기
신호
로 바꿨다. 연구팀은 이
신호
를 첫 번째와 같은 구조의 방에 있는 두 번째 쥐의 대뇌 피질에 미세전극으로 전달해 운동신경을 자극했다. 그 뒤 두 쥐의 행동을 관찰했다.관찰 결과 두 번째 쥐는 첫 번째 쥐가 누른 것과 같은 스위치를 ... ...
공명 이용한 저전력 정보처리의 길 열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스핀소용돌이 핵의 회전운동 진폭이 약 4배 증가했다. 이 운동을 통해 저전력 고효율 정보
신호
발생의 길이 열린 것이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월 18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PART 4. 구글 in Scienc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이는 행성 자전과 같은 천체 현상이나 행성 간 간섭으로 인한 통신 지연과 잠재적인
신호
두절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우주에서 벌어지는 일 때문에 자꾸 끊기거나 늦어져도 인터넷을 계속 쓸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번들 프로토콜은 데이터 뭉치를 일종의 꾸러미(번들)로 만들어 주고 ... ...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약 10km 떨어진 곳이었다. 먼저 스스로 상태를 점검한 뒤 며칠 동안 지구에서 보내 주는
신호
를 받아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했다.8월 19일에는 처음으로 레이저를 시험했다. 여기에 사용한 장비가 켐캠(ChemCam)이다. 켐캠은 레이저를 이용한 분광기와 고성능 카메라를 결합한 실험장치다. 레이저는 ... ...
나로호, 드디어 꿈을 싣고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교신을 마친 나로과학위성은 다음날 오전 3시 28분우리나라의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와도
신호
를 정상적으로 주고받아 성능에 이상이 없다는 사실을 증명했지요. 이로써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11번째로, 자국에서 자력으로 위성을 발사한 국가가 가입할 수 있는 ‘스페이스 클럽’의 멤버가 됐어요. ... ...
걷지 말고 뛰어라! 런닝맨 수학놀이의 神 은 누구?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게임은 참여한 사람보다 하나 적은 의자를 두고 그 주위를 빙글빙글 돌다가 사회자가
신호
를 하면 재빠르게 의자를 차지하는 방식이다. 여러 사람이 경쟁을 하다가 결국 앉지 못하는 사람이 탈락하게 된다. 이렇게 한 사람이 탈락할 때마다 의자를 하나씩 줄여 나가고, 결국 마지막에 남는 사람이 ...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궤도 소프트웨어 등이 필요하지요.우주에 있는 위성과 지상에 있는 관제실은 라디오
신호
를 통해 교신합니다. 교신을 하기 위해서는 위성이 어느 시간에 어디에 있는지 알아야 하지요. 우주 개발 초기에는 교신이 가장 중요한 연구 개발 대상 중 하나였어요. 하지만 현재는 교신 기술이 굉장히 ... ...
[화보] 디자인, 기하학으로 진화하다!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포장이 풀어지면 꼭대기의 풍선이 부풀어 오른다. 이렇게 하늘에 올라간 수신기는 통신
신호
를 받아들이고 전송할 수 있다. 풍선은 마치 도넛처럼 가운데가 뻥 뚫린 토러스 형태다. 토러스란, 원통의 왼쪽 가장자리와 오른쪽 가장자리를 이어붙여 만든 도넛과 같은 형태를 말한다. 사각형 형태라 ... ...
북핵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식으면 방사성 제논 등의 동위원소는 기체상태로 남아 핵폭발의 숨길 수 없는
신호
로 남는다. 다른 원소들은 먼지와 결합해 세계 곳곳으로 날아간다. 1948년 초, 미국 공군은 미국이 태평양에서 했던 공중 핵실험을 모니터링한 뒤, 방사성 입자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공기 펌프로 빨아들인 뒤 종이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1970년대 초에 발사된 이래 현재 태양계 밖을 향해 여행하고 있다. 이 탐사선에서 보내는
신호
를 이용하면 이들이 태양계 밖에서 감속되는 정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수치가 일반상대성이론으로 예측한 가속도와 맞지 않았다는 것이다.1980년대 초부터 대략 20여 년간 관측한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