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이디어"(으)로 총 2,5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고 과학자들과 협력하는 것이 돈 버는 비결”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제가 암호를 해독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면 프로그래머들이 프로그램화해 줬어요. 제 아이디어가 맞는지 틀린지 컴퓨터로 테스트하는 일은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거기서 했던 일들이 훗날 금융권에서 수학 모델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됐습니다.”그러나 그는 NSA에서 해고를 당했다. 베트남 전쟁 ...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논문 저자들은 양자 얽힘이라는 신기한 현상을 이용하여 이걸 구현한다.이들의 아이디어는 “전자를 건드려 교란한 것은 아닌데 어디를 지났는지는 알 수 있다”로 요약할 수 있다. 어느 구멍을 지났는지 알았다면 전자가 입자로서 행동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상보성원리에 의해 여러 개의 ... ...
- 수학자 출신 억만장자 제임스 사이먼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자들이 모여 토론하는 것은 수학계의 오래된 연구 방식이다. 아이디어 교환을 통해 발전하는 수학의 속성 때문이다. 사이먼스는 이런 수학자들의 문화를 업무에 도입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 셈이다. 좋은 시스템 덕분인지 사이먼스가 설립한 르네상스 ...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수학동아 l2014년 03호
- 복잡한 논리식일지라도 참(1)과 거짓(0)을 의미하는 두 중류의 기호로 표현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이후 2차 세계대전을 거치는 동안 앨런 튜링과 같은 수학자들이 연구한 결과가 더해지면서, 복잡하고 논리적인 사고 과정을 수행하는 로봇의 두뇌가 탄생하게 된다. 수학, 로봇을 느끼게 ... ...
- 말 타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지구력은 좋지만 속도가 느리다.그래서 두 종을 교배시켜 새로운 종을 만들어 보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서러브레드의 속도와 제주마의 체력을 둘 다 갖추고 우리나라 사람이 타기에 적절한 키를 가진 말, 바로 ‘한국형 승용마’다.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2010년부터 서러브레드와 제주마를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국경을 초월하는 수학 교육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있어 보이기도 한다. 한국의 체계적인 극기 위주의 공부 방식에서 출발한 내가, 대화와 아이디어의 자유로운 교환을 중요하게 여기는 미국 문화에 적응해 가고 있을 때였다. 당시 소련의 체제 붕괴와 더불어 모스크바 출신의 수학자들, 즉 겔펜드나 샤파레비치 학파 사람들이 쏟아져 들어왔다. 그 ... ...
- 스포츠 산업, 수학으로 꽃피우다!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해서 알려 주는 장치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이 아이디어를 수학적인 방법으로 구현해냈다. 바로 위성항법장치(GPS)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지상에서 20000㎞ 위에 떠 있는 위성에서 전달받은 전파 신호를 잡아내 홀과 이용자의 거리를 계산해 주는 ... ...
- [독자탐방] 금 나와라 뚝딱! 3D 프린팅의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2호
- 반드시 갖춰야 한다.★ 창의력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통통 튀는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따라서 창의적인 사람이 매우 중요하다.★ 끈기와 노력 새로운 제품을 기획해서 설계하고 만들기까지는 꽤나 긴 시간이 필요하다. 또 엄청난 양의 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끊임없는 노력이 없이는 ... ...
- [스팀인터뷰] 금속 공예가, 수학에 푹 빠지다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오히려 모두 창의적이란 점에서 서로 닮았지요. 전 앞으로도 자연 속 수학에서 작품 아이디어를 찾을 생각이에요. 수학동아 독자들도 수학과 예술이 닮았다는 사실을 잊지 말고, 금속 공예 작품에도 좀 더 관심을 기울였으면 좋겠어요.” 수학교육대학원 논문★ ...
-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높이 평가해 가장 비약적인 발전을 이룬 분야로 뽑았다.T세포로 암세포를 없앨 수 있다는 아이디어는 3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80년대 T세포 표면에서 ‘CTLA-4’라는 단백질 수용체가 발견됐는데, 당시에는 이 수용체의 역할이 정확히 어떤 건지 몰랐다. 이후 제임스 앨리슨 미국 UC버클리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