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d라이브러리
"
억제
"(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원격진료·재택교육 급진전 화상회의 : 1.시공간이 축소된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도시의 교통정체를 해소하는 완전한 해결책은 아니다. 하지만 교통량의 확대를 상당히
억제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점은 우리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원격근무가 연평균 3-7%정도 증가하는 신규 교통량을 수용하는 경제효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인터넷화상회의 같은 지구 ... ...
동맥경화 해결사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아키라 엔도가 페니실륨 곰팡이 배양액에서 유사한 구조를 가진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
성분을 분리해 '콤팍틴'이라고 이름 붙였다는 것이다. 이 소식은 사실을 가능성이 높았다. 임상실험은 즉시 중지됐다.그러나 다행히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됐고, 임상실험은 재개됐다. 1987년 알버츠와 함께 ... ...
비만 여성이 낳은 자식, 신경손상 일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것으로 밝혀졌다. 이때 비만 여성이 건강한 경우이거나 엽산(葉酸, folic acid)이라는 질병
억제
제를 투여해도 마찬가지 현상이 관찰됐다.미국 캘리포니아주 신생아질병조사프로그램의 쇼 박사는 “척추 신경관이 덜 발달했거나 뇌가 아예 없는 아이를 낳은 5백38명의 여성과 정상적인 아이를 낳은 같은 ... ...
3. 날씬해지는 행동요법5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를 자극, 포만감이 생긴다.또 식사시간이 길면 글루카곤 등의 포만물질이 식욕중추를
억제
한다. 더욱이 잘 씹어 먹으면 소화호르몬이 계속 분비돼 더 먹고 싶은 기분을 억누른다.따라서 10-15분만에 식사를 마치면 적당한 양을 먹었어도 배가 부른 느낌이 오지 않는다. 그 결과 과식이 유발되는 ... ...
먹는 피임약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일부 불임여성을 치료하는데 성공을 거두었다. 같은 실험과정에서 핑커스는 배란이
억제
되는지를 관찰해 프로게스틴으로 피임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는 확신을 가졌다. 그렇다면 프로게스틴을 함유한 어떤 약이 최초의 피임제로 개발됐을까? 1952년 미국 제약회사 설의 콜튼이 합성한 ... ...
수지침 - 인체의 축소판, 손을 다스린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심장이 심하게 두근거리기도 한다. 이때 손에 어떤 자극을 가해 교감신경 활동을
억제
한다면 신경계는 균형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수지침에서는 손을 '인체의 축소판' 이라고 본다. 보통 내장에 질병이 생기면 '내장-체표(피부)'반사에 따라 피부에 통증이 나타난다. 수지침에서는 이 통증이 다른 ... ...
공기흐름 막는 액세서리, 달면 손해?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cd계수를 2%정도 감소시켰다. 미국 포드사의 경우 타이어 주변에 발생하는 와류를
억제
하기 위해 타이어 전체를 특수 고무로 감싸는 방식으로 cd계수를 0.137까지 끌어내려 전투기와 맞먹는 자동차를 개발했다. 바람과의 싸움이 어디까지 왔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센서기술의 개가 에어백최근 ... ...
스트레스에서 암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지적하면서 "젊은 여성이 체지방을 줄이고 근육을 늘려 신체가 남성화되는 효과로 배란
억제
를 유도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 이라고 설명한다.미혼 여성도 산부인과 출입해야하지만 안타깝게도 아직 근원적인 대책은 없다. 비교적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 '빨리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다. 미국에서 ... ...
수천년 이어온 동양의 전통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있다.식물에는 사람의 생명을 기르고 연장시키는 물질이 들어있는가 하면 반대로
억제
시키고 위협을 주는 것도 허다하다. 동양에서 수천년간 써온 식물약제들은 오랫동안 실제로 활용돼 왔고 그 임상효능을 집대성하고 이론화해 인체에 적용시켜 왔다.이와같은 약초들의 효능 효과를 약초들의 ... ...
신경세포간 대화부족 해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분야에서 일했다. 그는 동물실험을 통해 플루오세틴이 세로토닌의 재섭취만을
억제
해 뇌속의 세로토닌 농도를 높인다는 것을 발견했다.일단 개발 가능성이 보이자 릴리는 1백명의 연구원을 할당해 좀 더 나은 물질은 없는지. 더 확실한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실험에 착수했다. 1973년 초의 일이다.197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