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근처
둘레
외주
가장자리
부근
원주
d라이브러리
"
주변
"(으)로 총 6,588건 검색되었습니다.
‘똥깡통’으로 디날리산의 ‘똥사태’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4호
있어요. 높은 산에선 눈이 녹아 생긴 물로 식수를 해결하기 때문이지요. 이뿐만 아니라
주변
강과 호수도 세균으로 오염돼요. 실제로 연구팀은 디날리산의 빙하가 녹아 모이는 카힐트나강에서 인간 대변의 세균을 소량 발견하기도 했답니다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4호
물체 쪽으로 휜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사실로 받아들여졌어요. 예를 들어, 무거운 블랙홀
주변
은 공간이 급격히 휘어 빛조차도 블랙홀로 빨려 들어간답니다. 스트레스(stress) ‘스트레스’는 ‘팽팽하게 잡아당기다’는 뜻의 라틴어 ‘stringere’에서 유래했어요. 원래는 물리학에서 줄과 같은 ... ...
[Go! Go! 고고학자] 닭을 처음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4호
고양이가 사람과 처음 살기 시작했다고 생각해요. 인간이 정착 생활을 하면서 마을
주변
에 음식 찌꺼기 등 식량이 많아졌고, 이를 찾아 내려온 야생 고양이 중 온순했던 종류가 사람과 가까운 곳에서 살며 쥐를 잡기 시작했다는 거예요. 그러다 고양이를 귀여워한 사람들이 직접 고양이를 돌보기 ... ...
[과학뉴스] ‘우주 불꽃놀이’ 감마선 폭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4호
폭발을 관측한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과학자들은 이번 연구를 계기로 감마선 폭발과 그
주변
환경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용어정리*감마선 : 파장이 짧은 고에너지 전자기파 ... ...
자율주행차 안전성 높이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3호
운전하려면 자율주행차 센서의 한계를 극복해야 해요. 그래서 연구자들은 차량과
주변
사물이 정보를 주고받는 ‘차량사물통신(V2X)’ 기술에 주목하고 있어요. 이 기술은 2000년대 초부터 논의돼 2010년 7월 미국에선 차량끼리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차량 이동 환경에서의 무선엑세스(WAVE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무엇이든 만들어요! 밴드 블록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3호
이처럼 서로 다르게 생긴 도형들을 섞으면 다양한 입체도형을 만들 수 있죠. 우리
주변
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물건들 중에서도 위와 같은 원리로 만든 것이 하나 있어요. 바로 ‘축구공’이랍니다. 축구공을 자세히 살펴보면 오각형과 육각형의 조각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걸 볼 수 있지요. 우리 ... ...
자율주행차 직접 타 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3호
등이 다니는 도로라 혹시 모를 돌발 사고를 막기 위해서였지요. 차량은 시속 약 30km로
주변
차량과 비슷하게 달렸어요. 운전석 뒤에는 자율주행차가 스스로 움직인다는 걸 보여주는 모니터가 있었어요. 모니터에 비친 핸들과 브레이크에는 손과 발이 닿지 않았지요.자율주행차는 자연스럽게 차선을 ... ...
지렁이를 사랑한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3호
그럼요. 지렁이 연구의 장점은 어디서든 쉽게 할 수 있다는 거예요. 어과동 친구들도
주변
에서 일단 지렁이를 찾아보길 바라요. 이때 서로 다른 서식지 환경 두 곳에서 지렁이를 찾아보고 몇 마리나 있는지 헤아려 보세요. 추가 실험을 하고 싶다면 다른 종류의 비료를 땅에 뿌린 뒤 지렁이의 수가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내 마음대로 둥둥 뜨는 잠수부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2호
도전을 시도한 곳은 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로 알려져 있는 ‘마리아나 해구’예요. 괌
주변
에 있는 거대한 해구로, 최대 수심이 1만 1000m가 넘지요. 지금까지 이곳을 탐사한 기록은 단 세 번밖에 없어요. 이정도로 깊은 물속에선 어마어마하게 강한 수압이 사방을 누르기 때문에 탐사가 매우 ... ...
뇌, 이젠 직접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2호
만들다 발명된 콜라, 푸른곰팡이에서 찾아낸 항생제 페니실린처럼 우리
주변
에는 우연한 계기로 발견된 발명품이 꽤 많이 있어요. 2013년, 오스트리아과학아카데미 매들린 랭커스터 박사도 줄기세포로 신경세포를 만드는 중 우연히 ‘뇌 오가노이드’를 만들었어요. 뇌 오가노이드는 다양한 신체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